1. 희곡 작가인 배삼식은 십여 년 전에 연극계의 원로였던 故 장민호(1924~2012)와 故 백성희(1925~2016)의 연극 편력과 업계에 미친 공로를 기리고자 한 편의 희곡을 헌정했다. 그 작품이 '3월의 눈'이다. 

 

2. 노부부는 형편이 어려운 손자 내외를 위하여 평생토록 살았던 한옥을 팔고 요양원으로 떠날 준비를 한다. 연극의 줄거리는 이것이 전부이다. 작가는 이처럼 단순한 줄거리 안에서 우리 일상의 갖가지 세목들과, 변화하는 세속에 대한 나이 든 이들의 만감을 섬세한 필치로 형상화한다.

 

3. 무대에 설치된 한옥에는 화분, 장독대, 약탕관, 빨래판, 섬돌과 같은 물상들이 갖추어져 있다. 무엇보다 관객들 눈에 띄는 것은 들보에 매달아 놓은 흰 끈이다. 거동이 어려운 노부부는 신을 신거나 벗을 때 흰 끈을 손으로 붙들고 몸의 균형을 잡는다. 일상에 대한 작가의 관찰력이 빛나는 대목이다.

 

4. 팔순의 노부부는 오딧빛 툇마루에 앉아서 냉기와 온기가 섞인 삼월의 볕을 받으며 대화를 나눈다. 아내인 '이순'은 자신의 서툰 뜨개질과 남편의 머리 모양을 탓하고 남편인 '장오'는 나른한 표정으로 침묵을 하거나 가볍게 단답으로만 대꾸한다.

 

5. 다시 말하자면 이들의 대화에는 이른바 '필수적'이거나 '실용적'인 성격을 띤 부분이 없거나 드물다. 노부부는 의미와 쓸모가 엷은 얘기들(문풍지 바르는 법, 전쟁 통에 준치를 구해서 먹었던 기억, 겨울이면 아들이 눈을 쓸던 모습, 이발소 사장이 가게를 처분해서 큰돈을 벌었다는 풍문 등등)을 하는 데만 집중한다. 더러는 '이순'이 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종적을 감춘 아들에 대한 그리움을 말하고, '장오'가 종주먹을 흔들며 분통을 터뜨리는 장면이 있다. 하지만 이조차도 이 연극에서 '아주 중요한' 장면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6. 누군가는 이 연극에 대해 '옛것에 대한 그리움과 정겨움을 담았다'는 평가를 내린다. 그리고 다른 누군가는 리얼리즘적인 전통 내에 이 작품을 위치시켜서 그만한 위의와 경의를 부여하려 한다. 이러한 평가들은 모두 조리와 일리가 있다. 그럼에도 나는 이 연극을 보면서 사무엘 베케트의 부조리극인 "고도를 기다리며"를 수차례 떠올렸다.

 

7. "고도를 기다리며"라는 희곡은 다층적이고도 다면적인 의미를 지향하는 '열린' 텍스트이기에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여지를 가진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고도를 기다리며"는 시간의 전방위적 공격에 버티고, 버티는 우리 인간들의 우습고도 서글픈 모습을 가장 정확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8. 시간은 무한하나 인간과 인공품은 유한하다. 사람은 언젠가 무덤으로 들어갈 준비를 해야 하며 인공품은 (인간보다 수명이 더 길 수도 있으나) 본래의 모습을 잃어서 마모되고 해체되는 수순을 밟는다. 부언하면 '장오'는 하루가 지나면 요양원으로 가야 하고 한옥은 조만간 개발업자들의 손에 무너지게 된다.

 

9. "3월의 눈"은 시간의 공격에 버티는 방법을 두 가지로 보여준다. 하나는 ("고도를 기다리며"에 나오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그러했듯이) 무의미한 행동의 반복을 통하여 시간이 가하는 압박을 한시적으로나마 잊는 것이다. 이를테면 노부부는 다음 날이면 한옥과는 거리가 먼 일상을 살아야 함에도 문풍지 바르는 법을 얘기한다. 또한, 그들은 노인의 머리 모양과 위생에 대한 생각을 주고받으며, 당장은 구하기 어려운 생선(준치)의 맛도 품평한다. 말하자면 이들이 나누는 대화는 작품의 주된 내용(집이 헐리고 그 집의 거주자는 다른 곳으로 떠난다)과는 별다른 상관 관계가 없음에도, 역설적으로는 상관이 있는 것처럼 여겨지는 효과를 낳는다. 즉, 이들은 조만간 도래할 착잡한 순간을 잊고, 견디고자 의미와 쓸모, 소통과 같은 것들을 생각하지 않고 '말하기 자체'에 열성을 쏟는 것이다.

 

10. 그러나 '말하기'만으로 자기 마취적인 효과는 있어도 자기 치유적인 결과를 얻기란 어렵다.

 

11. 극의 말미에서 '장오'는 집을 떠나면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섭섭할 것도 억울할 것도 없어. 이젠 집을 비워줄 때가 된 게야. 그래도 이 집이 나보다 낫군. 흩어질 땐 흩어지더라도 뭐가 되도 된다네. 책상도 되구, 밥상도 되구.' 이 대목에서 시간의 공격에 버티는 두 번째 방법이 나온다. 그 방법은 인정과 달관의 자세로, 후손과 후세에 대해서 무조건적/영원적인 믿음을 가지는 것이다.

 

12. '장오'는 자신에게 상처를 주었던 자손(민주화 운동을 하다가 종적을 감춘 아들, 한옥을 팔아서 빚을 갚으려는 손자 등)들을 원망하지 않으며 노부부의 주거지에 침입해서 이익을 챙기는 외부자들(대청의 마룻장을 뜯어가는 개발업자들, 관광객들에게 한옥을 보여주는 통장 등)을 탓하지 않는다. 부언하면 그는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선악의 시선으로, 이분법의 관점에서 보는 방법을 거부한다. 그는 한옥을 이루었던 재료들이 또 다른 편의품이 될 것이며, 한옥이 머물렀던 자리에 노인의 자취가 사라지더라도 그곳에는 새로운 삶의 터전이 마련되고 번성할 것임을 믿는다.

 

13. '장오'의 위와 같은 믿음은 허상과 오류에 기초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는 세파와 노화에 지쳐서 크게 마음을 다치고는 '속 편한' 믿음으로 자신을 위안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럼에도 '장오'의 믿음은 노인의 마음바탕에서 비롯하는 '어떤 깨달음의 경지'를 보여준다. 시간의 공격을 받으면서 자유로운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리하여 모든 것들은 해체와 소멸의 경로를 따라간다, 그럼에도 인간과 그의 인공품 속에 깃든 '특유한 성질'은 다른 형태로 이월되어서 잠시나마 보존될 것이다, 이러한 이월과 보존의 지난한 연속적 과정'만큼은' 앞으로도 영원할 것이다. 요컨대 3월의 눈은 시간의 공격성과 영원성에 버티는, 어느 초연한 노투사의 헛될지도 모를 기대와 희망을 보여주는 작품인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초원 2018-03-14 17: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3월의 눈>이 눈眼인가요 눈雪인가요. 제가 늙은이라 혹하며 읽었습니다.

˝이들은 조만간 도래할 착잡한 순간을 잊고, 견디고자 의미와 쓸모, 소통과 같은 것들을 생각하지 않고 ‘말하기 자체‘에 열성을 쏟는 것이다 ˝

이 부분에서 들이대고 싶기도 하지만,

3월의 바람부는 오후에 좋은 글이네요.

수다맨 2018-03-15 09:54   좋아요 0 | URL
초원님, 댓글 달아주셔서 고맙습니다. 눈은 아래 곰곰발님의 댓글에서 나오는, 하늘에서 내리는 그 눈이 맞습니다.
이 연극은 매해 3월이면 국립극단에서 했는데 최근 삼년 동안은 소식이 없다가 올해 2월부터 다시금 명동극장에서 열리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무척 감명 깊게 보았던 연극이어서, 알라딘 서재에 감상평을 몇 글자 성마르게 적었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8-03-14 19: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초원 님, 雪입니다. 제가 속초에서 1년 살았는데 강원도 분들이 말씀하시더라고요. 강원도에서 폭설이 내리는 때는 12월이 아니라 3월이라고...

수다맨 2018-03-15 09:59   좋아요 0 | URL
저도 2년간 강원도 양구에서 군복무를 한 적이 있는데 그곳은 3월에도 기운이 낮고 폭설이 내리더군요.
이 연극의 연출가인 손진책은 ‘3월의 눈은 내릴 때 그 모습이 찬란하나 땅에 떨어지면 가뭇없이 녹으며, 이는 우리의 인생을 닮아 있다‘는 코멘트를 한 적이 있습니다. 저 역시 이 코멘트에 크게 공감을 한 적이 있는데, 곰곰발님 댓글을 읽고 제 경험을 돌아보니 어쩌면 강원도나, 그보다 추운 지방에서 사는 분들은 연출가의 말에 이해를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