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무처럼 살고 싶다 - 나무 의사 우종영이 나무에게서 배운 인생의 소금 같은 지혜들
우종영 지음 / 걷는나무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드라마 가을동화의 여주인공 은서는 다시 태어나면 나무가 되고 싶다고 했다.  한번 뿌리 내리면 다시는 움직이지 않는 나무가~그래서 다시는 누구와도 헤어지지 않고 싶다고 말했다. 
땅 속 깊이 뿌리를 감추고 있지만... 줄기와 잎은 온통 하늘을 향하고 있는 나무의 소망을 본다.  그리고 어둠에 갇혀 있는 뿌리의 인내와 온 몸으로 세상과 맞서야 하는 나무의 어린 잎사귀를 본다. 
한없이 초라한 자신의 삶이 너무 부끄러워 세상을 놓아 버리려던 작가는 마지막으로 찾은 북한산에서... 나무를 보며 삶의 의미를 되찾았다고 한다.

한번 뿌리내리면 평생 그 자리를 떠날 수 없는 나무~ 그러나 결코 불평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삶에 최선을 다하는 나무를 보며 인생을 배웠다는 작가는 그 이후 나무 박사가 된다.


이 책을 덮으며... 그동안 무심히 보았던 가로수길의 은행나무와 플라타너스 나무...놀이터 벤치 위 등나무...그리고 계족산의 봄을 알리는 개나리와 아카시아나무...밤나무가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다.


특히 의지와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는 육십년에서  백이십년 사이에 한번 꽃을 피우고는 즉시 생을 마감한다고 한다.  
그렇게 한번 꽃을 피우고는 땅 속에 숨어있던 모든 뿌리까지 말라죽는다니~단 한번 꽃을 피우기 위해 목숨마저 내놓아야 하는 대나무~하지만 그 푸르름과 곧음으로 흩으러짐 없이 의연하게 삶의 마지막을 받아 들인다고 한다.
때로는 사람보다는 자연에게서 더 깊은 위로와 삶의 교훈을 얻는다.

늘 감사보다는 불평이 많았던  삶이 아니었을까?

배려와 사랑보다는 나와 가족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삶은 아니었을까?
나무를 닮고 싶다.  조급함 대신 여유를~  두려움 대신 담대함을~ 
불평 대신 감사함을~  그렇게 자연의 순리에 순응하며~ 살아 보고 싶다.
작은 바람에 흔들릴 망정.... 뿌리는 조금도 미동하지 않는 나무처럼...그렇게 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