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혁명의 구조 ㅣ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과학 혁명의 구조(김명자 옮김)』 번역 비판>을 클릭하시면 번역 비판 전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한 단어도 놓치지 않고 그 의미를 살리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몇 구절 빼 먹은 곳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 모든 문장에 있는 모든 단어들을 꼼꼼하게 살려서 번역하려고 한 것 같다. 이 점만큼은 높이 평가해주고 싶다.
하지만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번역문이 너무 직역투여서 읽기가 까다롭다. 아래에 인용된 번역문들을 잘 살펴보면 문장이 매끄럽지 않다는 점이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둘째, 주요 용어들을 일관되게 번역하지 않았다.
셋째, 오역이 적지 않다.
김명자(246쪽): 제5절에서는 그런 논증을 두 가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이론들 사이에서의 선택이라는 문제에 적용시키는데, 간단히 결론짓자면 엄청나게 다른 견해를 지닌 사람들이 상이한 언어 사회의 구성원으로 간주되고 그들의 의사 소통 문제가 해석의 문제로서 분석되도록 요구한다.
Kuhn(175쪽): Subsection 5 applies that argument to the problem of choice between two incompatible theories, urging in brief conclusion that men who hold incommensurable viewpoints be thought of as members of different language communities and that their communication problems be analyzed as problems of translation.
l “incommensurable”을 “엄청나게 다른”으로 번역했다. 198쪽에서는 “incommensurability”를 “동일 표준상 비교 불능성”으로 번역했다. “incommensurability”는 이 책에서 매우 중요한 용어다. 그런 용어를 일관성 없이 번역하면 안 된다. 나라면 이 번역하기 까다로운 단어를 “같은 척도로 비교할 수 없는”으로 번역하겠다.
l “language communities”를 “언어 사회”로 번역했는데 앞에서 지적했듯이 “community”는 “공동체”로 번역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l “translation”을 “해석”으로 번역했다. “translation”은 “번역”으로 “interpretation”은 “해석”으로 구분해서 번역해야 할 것이다. 과학 철학을 다루고 있는 책에서 “translation”과 “interpretation”을 제대로 구분하지 않고 번역하는 것은 큰 문제다.
김명자(247쪽): 과학 활동에 종사하는 학자들은 대부분, 당대의 다양한 전문 분야에 대한 신뢰가 적어도 대충 결정된 구성원 그룹 가운데 분포되어 있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면서, 그들의 사회적 제휴에 관한 물음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Kuhn(176쪽): Most practicing scientists respond at once to questions about their community affiliations, taking for granted that responsibility for the various current specialties is distributed among groups of at least roughly determinate membership.
이덕하: 활동하는 과학자들 대부분은 자신이 어느 공동체에 속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즉시 응답하며, 당대의 다양한 전문 분야에 대한 책임이 소속이 적어도 거칠게라도 결정되는 집단들에 분산되는 것을 당연시한다.
l “responsibility”를 “신뢰”라고 번역했는데 “책임”이 나은 것 같다.
l “적어도 대충 결정된 구성원 그룹”은 뜻을 알기 힘든 번역이다. “소속이 적어도 거칠게라도 결정되는 집단들”이 더 나은 것 같다.
l “community affiliations”를 “사회적 제휴”라고 번역했는데 이것은 명백한 오역이다. “어느 공동체에 속하는가”를 뜻한다.
김명자(249쪽): 가장 높은 수준의 주제, 전문 학회의 회원 그리고 구독되는 잡지는 일반적으로 매우 충분하다.
Kuhn(177쪽): Subject of highest degree, membership in professional societies, and journals read are ordinarily more than sufficient.
l “Subject of highest degree”는 “가장 높은 수준의 주제”가 아니라 “가장 높은 수준의 학위의 주제” 즉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를 뜻한다.
김명자(258쪽): 예측들은 정확해야 한다. 정량적인 추론이 정성적인 것보다 바람직하다.
Kuhn(185쪽): they should be accurate; quantitative predictions are preferable to qualitative ones;
l “prediction”을 처음에는 “예측”이라고 번역해 놓고 곧바로 “추론”이라고 번역했다. “추론”이라고 번역할 이유가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