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진화 - 최초의 언어를 찾아서
크리스틴 케닐리 지음, 전소영 옮김 / 알마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언어의 진화 - 최초의 언어를 찾아서(전소영 옮김)』 번역 비판 >를 클릭하면 상세한 비판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는 그 중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
Kenneally(52쪽): And then, at the same time, Massimo Piatelli-Palmarini, a colleague and friend of mine in the Department of Linguistics and Philosophy, published an article in Cognition on the evolution of cognition and language.
전소영(86쪽): 그리고 그 무렵, 언어심리학과에 있는 제 동료이자 친구인 마시모 피아텔리 팔마리니Massimo Piatelli-Palmarini가 <인지Cognition>에 인지와 언어의 진화에 관한 글을 실었습니다.
* “언어심리학과”라고 번역했는데 “Philosophy”는 언어가 아니라 철학이다
Kenneally(53쪽): At the time that the Cognition article appeared, it looked to Bloom as if everyone else agreed with Piatelli-Palmarini.
전소영(86쪽): <인지>에 실린 글은 당시 블룸에게 마치 다른 모든 사람들이 피아텔리 팔마리니의 말에 동의하는 것처럼 보였다.
* “At the time that the Cognition article appeared”는 “<인지>에 실린 글은 당시”가 아니라 “<인지>에 그 논문이 실렸을 당시에는”이다. 그 논문이 실렸던 시점을 말하는 것일 뿐이다.
Kenneally(53쪽): Back then if you didn’t independently have an interest in evolutionary biology or evolutionary theory, the arguments of Chomsky, on the one hand, and Gould, on the other, were very persuasive.
전소영(86쪽): 당시에는 진화생물학이나 진화 이론에 자기 나름의 특별한 관심이 없어도 한쪽에는 촘스키의 주장, 다른 한쪽에는 굴드의 주장만 내세워도 매우 큰 설득력을 발휘할 수 있었습니다.
* “관심이 없어도”가 아니라 “관심이 없다면”이다. 진화론에 특별한 관심이 없어서 잘 모른다면 촘스키나 굴드의 헛소리에 넘어갈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Kenneally(53쪽): We did not disagree with Massimo about his characterization of language.
전소영(87쪽): 우리는 마시모가 언어를 설명하는 내용에 동의하지 않았어요.
이덕하: 우리는 언어의 성격 규정에 대해서는 마시모에 반대하지 않았어요.
* “반대하지”를 “동의하지”로 반대로 번역했다.
* “characterization”은 “설명”보다는 “성격 규정”으로 번역하는 것이 나은 것 같다. 설명은 너무 포괄적이어서 언어의 기원에 대한 설명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동의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