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
선대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전세금이 집값의 60퍼센트 선을 넘지 말아야 안전하다는 글을 언론과 인터넷에서 많이 봤습니다(이 책에서도 그렇게 나오네요). 경매 낙찰이 보통 집값의 63퍼센트~75퍼센트 사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그 이상을 지불하고 전세를 들어가면 전세금의 일부를 떼일 수도 있다는군요. 그런데 최근 전세값이 많이 올라서 70퍼센트를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80퍼센트가 넘는 경우도 심심찮게 보입니다. 

이런 불안한 전세에 들어갈 바에야 차라리 집을 사는 게 어떨까. 요즘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네이버 부동산, 다음 부동산을 돌아다니면서 전세와 매매가를 검색해 봤습니다. 그 결과 제가 사는 지역 아파트 가격이 꽤 올랐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러니 불안해지더군요. 더 오르는 건 아닐까? 그런데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여전히 내리는 추세더군요. 그걸 보고 마음의 안정을 찾았습니다.^^
돈이 제일 많은 서울과 경기도가 여전히 침체 상태인데 경기가 심히 안좋은 우리 지역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를 리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지방에서 그나마 경기가 좋은 곳은 울산 뿐인 것 같더군요. 지인 중에서 울산으로 이민간(?) 분들이 꽤 있습니다.^^)
일단 월세 들어가더라도 당분간은 집을 구입하지 않고 관망하기로 결정했는데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언젠가는 집을 사야하거든요.(자가 소유가 주는 안정감을 누리고 싶습니다.)

언제 집을 사야할까? 해답을 얻기 위해서 선대인, 미친 부동산을 말하다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선대인은 대표적인 부동산 비관론자입니다. 일관되게 부동산 가격이 내릴 거라고 주장했고 현재까지는 그의 주장이 옳은 것으로 판명이 났습니다. 최신작인 이 책에서도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부동산 대세하락기이고 상당 기간 하락이 이어질 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2008년 대세하락기로 들어갔다고 하면-부동산은 주기가 길기 때문에-박근혜 정부 내내 가격이 하락할 거라는 말인데......

저는 무주택자라서 집값이 빠지기를 바라는 쪽이긴 합니다만 폭락을 원하지는 않습니다. 경제에 가할 충격과 하우스푸어의 고통을 감안하면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 되겠죠. 그런데 책을 읽다보면 폭락의 가능성도 제법, 아니 상당히 있어 보여서 불길합니다.
모쪼록 정부가 대책을 잘 써서 연착륙을 했으면 싶은데 책에서 주장하듯 견착륙의 가능성이 더 커 보입니다.(빛 내서 집 사는 게 대책이라니, 정부 정책이 너무 한심해 보입니다.)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부동상 낙관론자의 책도 읽어볼 생각입니다. 그래도 최소한 2015년까지는 아파트 구입을 보류할 생각입니다. 혹시 저처럼 아파트 구입을 염두에 두고 계신 분이라면 이 쪽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금리는 형편없고, 부동산과 주식은 불안하고, 시절이 참 하수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