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으로 풀어낸 고려 왕 34인의 이야기
석산 지음 / 평단(평단문화사)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은 무조건 선하거나 무조건 악한 존재가 아니다. 때에 따라 존재의 상태가 달라진다. "-5
맞는 말이지만 무서운 말입니다. 때에 따라 존재의 상태가 달라지는건 물건이든 사람이든 당연한 거겠지만 만일 그 존재가 인간이고 나쁜 때라면 주변인들이 힘들테니까요. 더군다나 만인을 호령하던 시절의 왕이라면... 그 시대를 우리는 암흑기라고 불러야 할테니 더 말이죠.
고려사 500년을 통치하다 스러져간 고려 왕 34인의 이야기를 심리학으로 풀어주고 있는데요. 이전 역사책에서 왕의 업적을 공과 실로만 분류해보다 이렇게 그들의 개인사들을 이어서 보게되니 그들이 하려고 했거나 했던 일들을 심리적으로, 환경적으로 그럴 수 있었겠다 라는 감정을 싣게 되기에 조금 더 개인적으로 고려 왕들을 이해해 보게 됩니다.
박 혁거세 하면 떠오르는 알의 신화 비슷한 것이 왕 건의 조상에게도 있었다는데요. 호랑이와 용과 곡식에 대한 풀이를 보니 역시 왕이라는 건 가깝기보다는 먼 존재여야 따르기 쉬운 것일까, ( 백성들에게도 도통 이해가 안 되는, 왕이나 지배자들의 행동을 다른 존재라 여기고 그냥 멀리서 지켜보기 위해 이런 신화가 필요한 건 아니였을까), 하게 됩니다. 견훤이나 궁예 역시 자신들만의 독특한 일화가 있었음에도 왕건 조상의 신화에는 미치지 못하는 걸로 보이는데요. 왕이 되었기에 어디에선가 만들어졌을 신화에 취했을, 왕건도 몰랐을겁니다. 전쟁이나 궁예와의 아슬아슬한 순간을 넘기고 만들어낸 그의 나라가 2대때부터 조금씩 휘청이기 시작할거라는 걸 말이죠.
호족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만든 기인제도에서 얻은 장자 왕무의 외척이 하필이면 약했기에 불안한 왕으로 출발했고 왕이 된 후에도 불안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출발한 고려사는 2대 혜종의 전능 환상이나 피터 팬 증후군 아니였을까 싶은 일화를 보이며 3대 정종은 어땠을지 등등의 그 다음 왕의 일생이 그의 심리와 어떻게 닿아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왕이라는 게 되기도 어렵지만 지키기는 더 어려운 일이구나 하게 됩니다. 어렸을 적부터 태자가 되기 위해 편안하게 자라지도 못했지만 왕이 되고나서도 주변에 늘 왕의 자리라는 걸 탐내는 이들이 있었으니 당연하겠지만 말입니다. 그렇게 그들의 불안 증세를 한 인간으로서는 이해하게 됩니다. 하지만 고려의 6대왕 성종이나 현종, 덕종, 정종의 일들을 보면 비슷한 환경, 비슷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선택과 극복을 제대로 해가는 이들의 행동은 다르다는 걸 보게되는데요.
왕들의 불안한 심리를 저자 석산님은 '그림자'라고 부릅니다. 왕이기에 앞서 인간이였기에 그림자를 가졌지만 그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한 많은 왕들과 그 반대로 자신의 역할을 잘 해 지금 명군이였다는 소리를 듣는 왕들의 이야기가 사람이란 좋은 것만 가지고 있는 때가 없다는 걸, 그럼에도 몇몇은 자신의 그림자가 커지는 걸 막을 수 있었다는 걸 보여주는데요. 이렇게 사람에 대한 이해로 읽어가는 고려왕 34인의 이야기는 고려사를 이해하기 쉽게, 그래서 고려가 전보다 가까워진 느낌을 갖게 합니다. 다음에 고려의 왕들을 만나면 그들의 희노애락과 함께 선택과 함께 달라진 고려사가 더 뚜렷이 기억나지 않을까 하는데요. 인간에게는 때가 아니라 존재의 내면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도 하게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