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톡 5 - 두 명의 왕비 조선왕조실톡 5
무적핑크 지음, 와이랩(YLAB) 기획, 이한 해설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라는 글자가 우선 재미를 더하지 않나 합니다. 선그라스와 폰으로 친목을 나누는 왕궁의 인물들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게 하는 이야기가 조선왕조 실톡에 가득한데요. 벌써 5편인 "두 명의 왕비" 편은 '현숙경 패밀리"를 보다 가깝게 보게 하고 있습니다.  알듯 모를듯한 현종, 숙종하면 떠오르는  여인들의 운명이 왜 그리 되었는지. 햄릿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못하지않은  운명의 남자 경종과 그의 뒤를 이은 연잉군까지... 연결이 잘 되지않던 그들의 일생이  그들에게 폰이 있었다면 누구에게라도 정말 이 비슷한  이야기를 나누지않았을까 할 정도로 심정적으로 이해가 팍 오는 문장들에   태종태세문단세... 한 다음 뭐더라 하면서 빠지기 쉬운 그들의 삶이 촤르르 펼쳐보이게 됩니다.


 

왕이 없는 세상에서도 정치인들의 그릇된 계획이나 한 수만으로도 우리의 겨울이 이리 추운데, 모든 걸 지배하는 자들의 성품이나 정책의 방향이 오락가락 하는 경우에는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재미로 역사로 인간적으로 그들을  보게 되는데요. '어의없네'라는 말이 잘못 되었다는 걸 콕 짚어주는 세종대왕님의 친추부터 시작됩니다. 어느 날 갑자기 메신저로 찾아 온 조선시대 그분들의 시시콜콜 사는 이야기가 말이죠~


효종의 죽음 후 1년상 혹은 삼년상  상복을 입을지로 시작된 길고 긴  "예송 논쟁" 이야기부터 시작되는데요.  인조가 소현세자를 홀대했기에 벌어진 일이라 볼 수 있는 이 일은  이번 한번만으로 볼 수 없게 됩니다.   비위를 잘 맞추는 사람들 옆에서만 살아서인지,  왕위를 지키기위해 대를 이어온 자들의 성품이란 부정이란 뜨거움을 억누를만큼 점점 차가워만 지는 것인지,   숙종과 처음과는 다른 관계과 되어가는 경종, 그 다음 편에 나올 것으로 보이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관계를 보면서 비슷한 느낌을 받게 되니 말입니다. 예송 논쟁부터  경종이 연잉군을 반대하는 신하들 사이에서  지키려한 이유까지를 요즘 세대들이 주고받을만한  톡이 오고가는  짧은 이야기만으로도 잘 볼 수 있기에 기억하기 훨씬 쉽게 되는데요.


이렇게  그 왕이 어떤 일을 했는지부터  아마 그래서  그러지않았을까 하는 추측의 이야기, 그런 후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데요. 웃으며 페이지가 슬쩍 넘어가지만 이야기는 꽤 진지하게 흘러가기에 역사속 사실이라고  기억나는 이야기와 이미 잊혀진 이야기 사이에   우리를 놓게 됩니다.   재미있게 주어진 이야기 다음에는  실록 돋보기라 하여 나온 이야기들이 진짜와 가짜를 가려주며 그 당시를 내가 살고 있었더라면  진실이 어떤것이였을까를  더 궁금하게 만들게 되는데요. 


조선 사람들이 아침과 저녁은 거하게, 하지만 점심을 간식정도로만 가볍게 먹었다거나  비극을 떠안고 사는 운명에 지쳐 늘 소심한 줄 알았던 경종도  피를 부른 일이 있었다는 몰랐던 사실 이야기도,   경종이 이전 숙종처럼 줬던 정을 잘 거두는 이였다면 영조의 운명도 달라졌을것이라는 걸 추측할 수 있게 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도   다음  이야기는 또 어떻게  보여줄지  기대하게 하는데요.   흥미를 잃지않고 다음을 기대하게 하는 조선왕조실톡,  역사속 인물을 매우 가깝게 다가오게 하는 이야기로  다음 인물들,  일도 많도 탈도 많았던 영, 정조 이야기이기에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게 될지 더 기대해보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