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체 읽는 남자
안토니오 가리도 지음, 송병선 옮김 / 레드스톤 / 2016년 11월
평점 :
송나라때 인물이라는 포청천 드라마를 보면서 그렇게 공명정대한 사람이 지금도 있다면 어떨까 라는 상상을 하곤 했었는데요. '시체를 읽는
남자'의 주인공 송 자 역시 송나라때 인물이라고 하니 어떤 압력이 들어와도 정의가 아니라면 따르지 않는 포청천과 사건에 휩싸인 시체를 보면
끝까지 그 궁금증을 풀어내는 송 자 그 둘이 만났다면 절대무적이 되지않았을까, 혹여라도 범죄를 꿈꾸는 이가 있다면 그 둘때문에 마음을 접어야
하는 건 아니였을까 하게 됩니다.(물론 찾아보니 아쉽게도 송자가 포청천보다 후대의 사람이더라구요...)
"세상에 원통함을 없게
하라"
스페인 최고의 역사소설가 안토니오 가리도라는 사람이 선택한 게 송나라때의 인물이였다는 게 진짜 의외였는데요. 그가 조사해 소설로써의 재미를
갖춰 이 세상에 나온 송자의 이야기는 지금 봐도 똑똑하고 꼼꼼하게 사건을 풀어나가는 검시관의 이야기이기도 하고, 어리석은 부분도 있어
한숨짓게 하지만 온갖 어려움에도 신의를 지켜온 남자가 커가는 시간을 그린 성장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장례를 치르고 일정기간 고향에 머물러야 하는 풍습때문에 형 루만빼고 수도인 린안에서 살던 온 가족이 고향으로 가게
됩니다. 한참만에 만난 형 루는 안하무인에 제멋대로인 사람으로 변해버렸고 돌아온 가족을 그다지 반기지 않는데요. 견디다 못한 자가 다시 루안으로
돌아가 예전의 일들을 하자고 하지만 아버지는 의외로 강경한 반대를 하고 이 곳에서 끝까지 살겠다는 소리를 합니다. 아버지와 아들 자가 모시던
펭판관이 같이 가자고 그 먼 길을 왔음에도 말입니다. 그러다 사건이 벌어지고 루는 쫓기게 됩니다.
이렇게까지 억울하게 개인이 당할 수 있구나 싶게 권력 앞에 이리 저리 치이기만 하던 자는 아픈 여동생을 지키기 위해 무리한 짓까지 하게
되는데요. 그러면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 즉 공부와 이 사람의 죽음이 어디에서, 왜 온 것인지 자세히 볼 수 있는 기회도 계속 얻을 수 있었던
걸 보면 그에게는 아마도 그 일이 천직이 아니였을까 하게 됩니다.
"이 땅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이 인간 행동의 결과이며 대가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99
인간 행동을 끝없이 의심하고 조사하는 일에 매달렸으면서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계속 믿는다는 게 아쉽기도 하지만 그렇기에 그가 매력적이지
않았을까 하게 됩니다. 사람에게 배신당하고 후회하고 놀라면서도 좋은 사람이라 믿는 이에게는 끝없는 믿음을 주는 그가 조금씩이지만
배워가며 자신의 능력을 넓히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인데요. 권력을 그렇게 무서워하면서도 권력앞에 무릎꿇지않고 포청천이 그랬듯 자신의 목숨을
정당함에 내놓아도 좋다고 생각하는 그의 용기때문인지 점점 나아질 다음 행동을 기대하게 됩니다. 세계최초의 법의학서 "세원집록"을 써냈다는 걸
보면 그에게 더 많은 일들이, 그가 풀어간 사건도 더 있지않았을까 싶은데요. 모르고 지나쳐간 형의 사건도 다시 파헤질 수 있는 것인지, 그를
구해주고 떠나간 이와는 다시 엮이는 것인지 궁금함이 아직도 끝나지 않게 됩니다.
어쩌면 그가 매력적인건, 실수를 인정하고 죽음앞에 목숨을 내놓고라도 자신이 해야한다고 생각한 조사라면 해내는 조사관이기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에게는 여전히 세상의 원통함을 풀어 줄 포청천과 송 자같은 이가 필요한 세상이니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