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는 성질 죽이기 - 행복하고 싶으면 분노를 조절하라!
로널드 T.포터 에프론 지음, 전승로 옮김 / 다연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며칠전에도 우산을 들고 다른 차를 막아선 채 그 차로 뛰어가는 사람의 영상을 뉴스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도대체 저렇게 화가 난 이유가 뭘까 싶었는데 좌회전하려는데 그 차가  막아서더니만  먼저 했다는 겁니다. (물론  상대방 운전자의 대답은 몰랐다고 했지만 말입니다)  놀랬을 수도 있고 기분이야 나쁠수도 있지만 그렇게까지 화를 내게 된 이유가 뭘까를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다. 나 역시 별거 아니라는 걸 알면서도 부글부글할때가 있고, 종종 소리내어 싸우는 사람들을 보기도 하고, 뉴스에서는 별거 아닐수도 있는 일로 지나친 결과를 가져온 이들의 이야기를 놀라며 듣다보니 '분노 사회'라 불리는 게 당연하다 싶지만 늘 결과만 이야기하지 원인이 뭔지를 알 수 없었는데요.


작가이자 심리학자인 존 레이테이는 폭발적 분노에 대한 저서에서 '평범한 사람들중에서도 다섯명 중 한 명이 통제 불가능한 분노를 경험한다' 라고 했다고 합니다.  통제불가능이라 해서 상상되는 심각한 결과가 나온 경우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고   '나중에 정신들어보니 내가  그 순간에 왜 그랬을까?'라고 스스로를 자책하는 일까지를  합하는 거라는데요.  


살면서  내가  그 때 왜 그랬을까 후회하는 일이 없는 이가 과연 있을까 싶은데,  자기도 모르게 폭발하는 성질  즉  분노를 여러가지 원인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사람이 달라졌다 느낄만큼 커다란 분노를 총체적 분노라 보고 그 안에   돌발성, 잠재적, 생존성, 체념성, 수치심,버림받음에서 오는  6가지 분노들을 넣어놓았는데요. 물론 돌발성이라는 분노의 출발 시점을 잡기 힘든 경우도 있지만  분노의 시작은 내 안의 두려움과 상처를 딪고 일어서려는 생존을 위한 의지가  잘못된 판단으로 그렇게 나타나게 된 것이라 합니다.


우리의 뇌가 넘치는 화를 주체하지 못하고 응급조치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노를 사용하긴 하지만  원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평소 성격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작은 분노라도 너무 자주 터지게 놔두다보면 뇌가 차츰 그 상태에 익숙해지고 예전보다 더 강력하고 오랜 시간 분노를 터뜨리게도 되고, 이미 누군가에게 화를 낸다는 것은 사랑하는 이들과 이전과는 같은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말이기도 해  왜 우리가 조절 방법을 알아야 하는지 이유가 되어주는데요.


각 분노들마다 여러가지  조절 방법이 나오지만 우선은 내가 모든 걸 조정할 수 없다는 걸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구나   하게 됩니다. 그렇게 해서 상황에 상관없이 자신이 자신의 마음에 대해서만이라도 통제권을 찾는다면 다른 이들의 행동이 원인이 되어 내가 다시 휘둘릴 일은 조금씩 작아지고 덜하게 되지않을까 하는데요.  내가 왜 그렇게 화를 냈는지도 돌아보고, 내 안의 나도 몰랐던 생각도 들여다보게되지만  '화'가 나 자신은 물론이고  내 주변에 있는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돌아보니  분노하기전 나타나는 징후들이 보일때 그 분노를 줄이는 나만의 방법 찾기가 중요하다 하게 됩니다.



"모든 욱하는  성질은  바로 자신의 머릿속, 즉 뇌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그게 오히려 잘 된 것일수도 있다. 자기 머리, 자기 뇌니까 자신이 해결하면 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은 자신이 바꿀 수 있다.... 무슨 일이든 포기하지 마라, 욱하는 성질을 멈출 수 있다" -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