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안에서 나를 만드는 것들 - 지금 가까워질 수 있다면 인생을 얻을 수 있다
러셀 로버츠 지음, 이현주 옮김, 애덤 스미스 원작 / 세계사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애덤 스미스가 보이지 않는 손과 경제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도덕과 인간의 심리적 본성에 관한 걸 썼다니, 더 호기심을 끈 책입니다.
경제학자로만 내내 알고 있었기에 그가 도덕철학교수를 했다는 것이 (물론 관세국장이 되어 정부를 위해 일했다는 것도 처음 알게 됐지만 그래도
그건 경제와 관련있다는 생각에 고개를 끄덕이게 되네요) 뭔가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먼저 하게되는데요. 팟캐스트 "이콘토크"를 하는 러셀
로버츠는 친구에게서 방송에서 초대손님과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대해 얘기하자는 제안을 받고, 잊었던 책을 다시 꺼내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읽어가면서 자신이 바라보는 상대에 대해, 그리고 자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게 해주는 책의 매력에 푹 빠졌다는 말을
하는데요. 10장으로 나누어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이, 왜 250년이란 세월이 지났음에도 지금도 보석처럼 빛날수 있는지를 같이 바라보게
됩니다.
난 왜 그때 나에게 이익이 없음에도 그런 선택을 하게됐는지, 거의 정신을 잃을
정도의 분노와 슬픔에 빠져있을때도 가까운 이와 그다지 친하지 않는 이에게 털어놓을때 내 감정이 저절로 조절되는지, 그리고 내 안에 진짜 내가
원하는 건 뭘지, 이기적인 인간들의 조합이 왜 발전을 이루고 신뢰라는 이름으로 여지껏 지탱되가고 있는지 들여다보게 하는 시간이
되는데요.
인간은 선천적으로 사랑받기를
원할 뿐 아니라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 68
사랑받기를,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기를... 낭만적으로만 들리는 이 말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더 넓은 뜻을 포함하고 있다는데요. 인간의 근본적 욕구, 누구에게나 자신에 대해 호감을 갖고 존경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존재에
관심을 갖기를 바란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인간안에는 자신의 행동을 바라보는 공정한 관찰자가 존재해서 내가 하는 선택이 내 이익과 벗어나더라도 그
선택이 더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는다면 그걸 더 우선시 하는 행동을 하게 되고, 어느 정도 이상은 그런 존재가 되도록 저절로 움직이게 된다는
것이라는 것이죠. '나도 모르게' 가 아니라, 공정한 관찰자가 나를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라는 존재와 너라는 존재가
공통적으로 가진 부분과 다른 부분을 생각해보게 되고 이해하게하는데요.
건강하고, 빚이 없으며
양심에 거리낌이 없는 사람의 행복에 무엇을 더하겠는가?-121
이 말이 정녕 유명 경제학자의 입에서 나온 말인지 놀라울뿐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경제학자란 이 시기를 잘 타면, 혹은 이 시기를 잘 견디면이란 유동성과 불확실성이 확실한 것이라 말할줄 알았는데 말입니다. 장자가 한 말이
아닐까 싶은 이 말만으로도 애덤 스미스의 뜻을 확실히 알 수 있지않을까 하는데요. 인간이 바라는 행복이란 부와 명예를 얻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갈등을 일으키지않는 내 안의 가치를 따르는 것에서 우선 나온다는 겁니다.
읽어가다보면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말한 경제가 잘 돌아갈 수 있는 이유나
도덕감정론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의 가치가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걸 알게됩니다. 10장에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의 차이에서도 나오지만, 가까이
있는 사람들과 지내는 방법을 말하는 도덕감정론이나 모르는 사람들과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세상에서의 인간의 행동을 말하는 국부론이 경제와 도덕이라는
전혀 다른 부분을 말하는 듯 보이지만, 인간의 어떤 행동이 무엇을 만들어가는지는 결국 같다는 생각이 들기때문입니다. 결국 나를 믿어주는
사람이 있고, 내 역할을 신중히 하는 사람들이 많을수록 경제속의 인간들이나 개인들간의 사람들이나 행복해진다는 같은 결과를 얻기때문이죠.
내 안의 행복뿐 아니라 세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드는 최고의 방법 역시 내 역할을 신중하고 열심히 해내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지금을 살아가는 내 안에 있는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도 어떻게 살아가야할지에 대한 마음을 주지않을까
합니다.
세상에 널리 퍼지는 선이란,
역사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착한 행동들이 모여 만들어낸 것이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그랬던 것처럼, 당신과 내가 살고 있는 지금의 상황이 썩 괜찮은
이유는 소리없이 살다 간 수많은 사람들 덕분이다. 그들은 희미하지만 충실한 삶을 살았고. 지금은 아무도 찾지않는 무덤에서 편히 쉬고
있다.-259(조지 엘리엇의 소설 "미들마치"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