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럽 페르소나
이석용 지음 / 책밥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럽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을 조사하던 형사가 이렇게 생각합니다. " 내 이럴때가 아니지..."라고요.그럼, 우린 자동적으로 생각합니다. 드디어 사건에 아주 중요하게 관련된 단서나 증인을 찾으러 가려나보다...라고요.

 

그런데 아닙니다. 40대의 인정받는 고참 형사이자, 사건을 지휘할 정도의 추리력과 배짱에 경험, 그리고 예리한 눈썰미가 보통 경찰은  아니로구나 싶은  서효자 수사반장은  그날 저녁 동네 마트  행사 시간에 맞춰 뛰어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아줌마가 형사라서... 라기보다는  밖에서  형사로써 해야할 일과 집에서 엄마나 아내로써의 일에 조율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그녀는   연륜이 있는 그녀만이 할수 있는,  파트너가 된 초짜 형사의 다 보이는 수사를 밀었다 땡겼다 하는 능력까지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그런 그녀가 자신의 관할이 아닌 곳에서 벌어진 살인 사건에 투입되게 됩니다. 더군다나 사건이 벌어진지 사흘 후에 말입니다.  땡땡이 우산과 주름치마로 사건현장인 클럽 페르소나에 등장한   그녀는 죽은 이가 교산 허균이라 불리는 인물이고,  옆 방에  사는 이는 안 두희에  회원들은 나혜석,고산자 김정호, 기은 박문수 등등 어디서 들어본 이름들이라는 걸   알게됩니다.  


역사속 인물들과 이름이 같은 이들이 모인 클럽이라는 겁니다. 채플린이나 양귀비까지, 역사속  누구와도 같은 이름이라면  참여할 수 있다는 클럽 페르소나는 자신의 이름이 붙은 이에 대해서만은 남들보다 더 잘 알아야한다는 의미를 서로 부여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순수한 모임으로  보이는데요.  그런  그들이   재산이나 과거에 묘한 얽힘이 있다는 걸 알게되면서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 아닐꺼라는 감을 주게 됩니다.


 등장하는 이들의 이름이 눈에 익은 오래된 느낌때문인지, 총의 등장덕분인지 이야기의 마지막은 연극무대 위 조명속에 있는 인물들을 상상하게 만드는데요.    좀 빨랐다면 이라는 아쉬움은 주지만  박 문수 회원과 홍형사의 어울리는 쿵짝과 어디 내놔도 당황하지 않고 증인들에게서 생각지도 못한 진술을 받아낼것으로 보이는 서형사는 다음 사건에서도 만나보고 싶다 생각할 정도의 매력이 있습니다. 폐쇄된 공간에서의 사건이 아니라 쫓고 쫓기는 사건에서 이들의 모습은 어떨지, 다음 사건도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