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 슈투더 미스터리, 더 Mystery The 7
프리드리히 글라우저 지음, 박원영 옮김 / 레드박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나이 지긋한 형사라는 이야기만으로도 건들거리는 걸음걸이에  까칠해보이는 부은 얼굴, 하지만 세상 다른 모든 일들처럼  사건 역시 급할것 없다는 느긋한 모습이 떠오르게 됩니다. 너무 많은 영화와 책의 주인공이였던 이들때문인지 부패의 냄새까지 말입니다. 하지만 콜롬보 형사가 그랬듯, 외관상 전혀 신뢰가 가지않지만 자신의 맡은 바 사건을 다 풀어내는 형사가 또 한명 있습니다. 정년을 얼마남기지 않은 슈투더 형사말입니다. 그가 우연히 한 젊은이의 사건을 맡게됩니다.


사랑하는 여인의 아버지, 즉 장인이 될뻔한 이를 죽였다는 혐의로 잡혀온 그,슈룸프는 슈투더에게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게되고  많은 사건을 겪은 슈튜더는 그의 눈빛과 몸짓에서  결백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그 사건속으로 들어가게됩니다. 슈룸프가 이미 많은 죄의 전과자였다는 걸 알게되었음에도 말입니다.  민완 형사인 그가  순박해보이는 시골 사람들을 조사하는 것쯤이야 싶었는데, 도시보다 오히려 서로 잘아는 시골사람들 사건이 더 풀기가 어렵다는 걸 알게됩니다.   뭔가 봤다더니 금세 침묵하기를  반복하는 증인들과  오락가락하는 슈룸프의 증언, 그리고 사라졌다 나타난 2자루의 총이  슈투더와 이 사건 담당 판사를 헷갈리게 만들게 됩니다.


사건보다 더 관심이 가는 건 슈투더입니다. 대충 사건을 덮으려는 판사의 뜻에 동의하는 듯 하다가도  정곡을 콕 찔러 아무말 못하게 하는 반전 카리스마를 보이기도 하다,  늑막염이 불러온 고열로 오락가락하면서도 사건을 풀어야겠다는  의지나  사라진 자와 남은 자들을 위한  배려를 보일때는 가슴 따뜻하게 만들기도 하고,  범인의 이런 저런 사정 다 봐주진 않겠다는 법 그대로의 정의로움을 보이기도 하기에 우리가 머릿속에서 그리는  경찰 모습 그대로의 매력으로 다가오기때문입니다. 어떤 탐정은  앉아서도 사건을 푸는 놀라움을 주지만   슈튜더같은 형사는  흐리멍텅해보이기도 하고 슬렁슬렁일듯도 하지만, 결코 사건의 중심을 떠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른 놀라움을 주게 됩니다. 우리를 지켜주는 이가 이런 경찰이였으면, 그리고 그렇겠지 하는 바람까지 말입니다.   시간이 지나 증거가 사라지고 증인만 남은 사건에서  슈투더는 우리에게  사건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를 비교적 숨김없이 보여주고 있기에  범인이 누구라는 건지, '느린 수사'의 결과를 궁금해하며 따라가보게 합니다.


이렇게 사건을 풀어가는 슈투더 형사 이야기는 1936년에 시작해 1941년에 끝난 이야기라고 하는데요. 고전이라는게 느껴지는 그의 행동과  사건 주변에 있는 이들의 깜찍하지만 순박한 행동이 제 욕심차리는 데는 시대에 상관없이 같다는 걸 보여주긴 하지만  그래도 얼마 못 가 속을 들키는 증인들에게   반가움을 느껴보게 됩니다. 사건뿐만 아니라 사람이란 어떤건가에 대한 것까지 생각하게해 준 슈투더, 그는 다음 사건에서도 체력의 한계와 죄와 범인사이의 인과관계를  괴로워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다음 사건에서는 누굴 어떤 모습으로 만나게 될지  기대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