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 EBS <인문학 특강> 최진석 교수의 노자 강의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최진석 교수님의 생각하는 힘,노자 인문학은 '생각이란 무엇인가'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생각이라는 게 뭘까요? 내가 하루에도 수없이 하는 생각들의
시작은 어디에서 왔을까? 돌아보니 궁금해지는 이야기들입니다. 불의 사용으로부터 시작된 생각의 발전이 인간에게 혈연의 중요성, 상제와
덕, 그리고 도라는 단계를 거쳐 어느 시대에 어떤 영향을 미쳤고 그것이, 그 다음 세대에는 어떻게 방향을 틀어 어떤 걸 만들어갔는지의
역사 이야기와 그 시간을 지나온 지금의 인간에게는 오히려 개별적인 '생각'이라는 게 줄어들고 있는 이유, 살아가는 데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그리고 어떻게 살아가야하는지의 이야기가 나와있습니다.
지금 나이가 되도록 공자 왈, 맹자 왈 그 분들이 하셨다는 몇 개의 구절들을 알고 있는 게 다였는데, 풀어가는 설명에 따라 열심히
들여다보며 공자와 노자의 주장, 그분들 말씀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이제사 조금 알듯 합니다. 인간의 본질을 '인'으로 보고 사람이 살아야
할 바를 인을 보존하고 확장시키는 것에 주력해야 한다고,그러니까 공통의 기준이 필요하다고 공자가 말한 반면 노자는 '본질' 자체를
부정하고, 자신의 사상 토대를 자연에 대한 관찰을 통해 알아낸 물 흐르듯 자연스러움, '관계성'에서 보고 있는 것입니다. '관계'로 되어있는
세계를 유와 무, 두 대립면이 같은 차원에서 얽히고 설키고 그렇게 공존하는 상호 관계를 띠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죠.
미리 '아름답다'라고 정의해놓고 다수가 따르다보면 그런 생각에 반대하거나 따르지않는 이들이 기준에 못 미친다는 느낌을 받게 되거나 반강제적으로
따르게 될 수 밖에 없지만 누구에게나 같이 관찰되는 자연에 뜻을 두고 바라보면 모든 가치는 중립적이라 투명성,객관성,보편성을 얻을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인과 예, 사람들이 지켜야 할 바를 누구나 배우고 익혀야 한다고 공자가 말했다는 건 수업시간에 집중했던 분들이라면 아직도 기억에 많이
남아있는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노자는 타인을 알고 따르기보다 자신에게 집중하고 자신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여긴 것이구요. 보편적
지식보다 자신의 자발성을 볼 수 있는 자만이 세계를 보여지는 대로 볼 수 있고, 그것이 왜 중요한지를 "지배당하지 않는 힘"편에 정치가로서
학생으로서, 부모로서의 모습에 비춰 주고 있는데,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이 맞는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성인은 방정하되 옳고 그름을
가르지 않고, 예리하되 찌르지 않고, 솔직하되 함부로 하지 않고, 빛나되 눈부시지 않다는 겁니다."-221
내가 나에게 집중한다는 것이, 나만이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남에게 무례한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저 먼곳 미래를 위해, 남들처럼 혹은
남들보다 나은 삶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왜 지금 여기에 있는 자기 자신에 집중하라 했는지에 관한 이야기가 마음을 울리는 건 알게 모르게
남들에게 집중하고 비교해가며 내 삶에 있는 건 부족하다 여기고, 없는 건 꼭 필요하다 여기며 사는 것이 우리의 일상이 되었기
때문일겁니다.
'타인을 아는 자는 지혜로울
뿐이지만, 자신을 아는 자라야 명철하다.'-208
왜 노자를 비롯한 도가 사상을 현대 철학에 비추어 볼 수 있는지에 관한 이야기가 내가 버리고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들,
그리고 내가 찾고 있는 행복이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답을 누구에게 물어봐야 하는 건지 알려주고 있기에, 스스로의 소중함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어줄거라는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