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 - 2014 앙굴렘 국제만화제 대상후보작
톰 골드 지음, 김경주 옮김 / 이봄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를  대충은 알고 있을 것이다.   중간 자세한 내용은 잊어버렸더래도  여리 여리할것이 틀림없는 소년 다윗과  힘 하나만 믿고 평생을 살아왔기에 피도 눈물도 없을 것 같은 우락부락한 사내  골리앗, 이 둘의 이름과   상상되는 대략적인  모습, 그리고 특히  모두의  예상을 뒤엎은  싸움 결과는 더더욱 말이다.    신을 믿은 자의 은총이라 불리기도 하고 싸움이란 역시나 끝까지 가봐야 하는 것이라 기억되어 지금까지도   예상과 다른 약체의 승리를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이였다는 말로 대신되는 이 둘의  이야기가  이리도 오래 남는 건, 거대하지만 나쁜 악의 세력에 맞서 싸운  작지만  정의로운 편의 승리였기 때문일것이다.

 

하지만, 하지만... 한번도 의심하지 않았던 골리앗이 말이다.

그가  모두를 위한다는 말에  할 수 없이  싸움에 참가한 이였다면 이라는 상상이 시작되게 된다.  그러고보니,  골리앗에 대해  아는 건 그의 키가 크다는 것과   힘이 셀거라는 추측, 그리고 매일 싸우자는 말을 한 것으로 보아 목소리도 크지 않았을까 하는  정도뿐인데, 왜 그를 무조건 나쁜 사람으로만 여겼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골리앗은  이렇게 우리의 기억과 많이 다르게 그려진다.  40일동안 이스라엘군이 있는 곳까지 가서 "내 너희들에게 도전한다."는 무시무시한 말을 전하던 그가  원래 행정병이라는 것이다. 아무것도 아니라는, 전사처럼만   행동하면 된다는 그의 임무는   그리 쉬운 일도 아니다. 모두가 파티를 준비하고 개인 볼일을 보고 있을때도  그 자리를 지키며 자신이  원하지도 않고, 상상해 본 적도 없는 '전쟁'에 관한  말을 매일 전해야 하기때문이다.

 톰 골드는 골리앗에 대해 성경에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이야기를 써나갔다고 한다.   방패지기 소년이 실수를 해도 아무말이 없던 골리앗, 떠나고 싶었지만 우리 모두를 위한 일이라는 말에 하루 하루를 버티던 그의 모습은,   그가  진짜로 전쟁에 이용된 키만 큰 착한 이였다면 어떡할까라는 미안한 마음때문인지  이유도 모르고 당한 그의 최후가  슬프게만 느껴지게 된다.  

 

정말 그렇다면 골리앗에게 미안해할 사람들이 꽤 많을 것이다.  어쩌면 억울할지도 모를 톰 골드의 골리앗에게서  다수가 그렇다고 하면 그걸 따라가는게  맞다고 생각한 일은 없는지,  자신이 책임지고 해야 할 일을 적당히 누군가에게 떠넘긴 적은 없었는지, 누군가가 보인 잠깐의 모습만으로 그 사람에 대해 모든 걸 다 알고 있다고 쉽게 판단한 적은 없었는지를 생각해보게 된다.  

 

그림이란 이런 것일까. 긴 말이 없이도  한번도 의심하지 않았던 골리앗의 존재를   흑백의 선이 만들어낸  잠깐의 상상만으로  달라질수 있다는 걸 보여준  톰 골드가 다음은 어떤 이야기를 그려갈지 기다려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