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잡스러운 수학 엿보기 - 잡스를 키운 것은 수학이다
홀거 담베크 지음, 배명자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걷다보면 늘 풀리는 운동화 끈을 보면서 손재주 없음을 탓했었는데 누군가는 신발끈이나 넥타이를 비롯한 매듭을 지을 수 있는
것들에 어디서 먼저 끈을 돌리는지에 따라 묶임의 세기나 모양이 달라지는 지를 다양한 이름을 주고 경우의 수로 세어가는 이들이 많다는
것을 보니, 수학이란 머리를 아프게만 하는 과목의 한 종류라고만 단정지었던 학창 시절 나를 원망해야할지도 모르겠다. "잡스러운
수학 엿보기"에서는 우리 일상 생활속에 보이지는 않지만 생각보다 많은 곳에 수학이 들어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 졸업하고 나서는 숫자만 보여도 무조건 계산기를 눌러대는 내게, 엄청나게 큰 수의 곱이라도 계산기나 구구단이 아니라 트라첸버그의
덧셈법을 비롯한 여러 방법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나 암기법의 방법을 어떻게 이용하면 더 많이 기억 할 수 있는지, 상대방이 생각해놓은
숫자를 알아맞추는 등의 마술처럼 보이는 일, 그리고 아이들이 늘 아우성치는 내 몫, 네 몫의 공평한 분배를 손으로 계산할 수 있는 어떤
방식들이 있는지를 증명해 보여주고 있다.
지금은 더듬 더듬 숫자 하나씩을 짚어가며 이렇게도 계산이 된다는 게 신기해 따라해보는 정도지만, 이 생소한 계산식 역시
익숙해지면 계산기없이도 얼마든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너무 일찍부터 숫자 배열의 규칙을 더하기 빼기, 구구단안에 넣어 암기만으로 계산하려
들지 않았다면 가우스나 트라첸버그만큼은 아니더라도 숫자로 활용하는 것들의 범위를 지금보다는 많이 넓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가지게
한다.
그 많은 이야기중에 내가 제일 잘 따라해볼 수 있는 건, 아무래도 기억술이지않나 싶다. 얼마되지도 않는데 늘 헷갈리는
전화번호나 주소, 비밀번호등에 나만의 상상력이 확립된 기억술을 이용하면 아무래도 지금보다는 나은 기억력을 지닐수 있지 않을까 해보게
된다. 숫자의 다양한 계산 방법과 수학의 곳곳에 쓰이고 있고 앞으로도 쓰일거라는 걸 보여주는 이야기에서 수학을 처음 배우는
학생들부터 어디에 쓰이는지를 먼저 알고, 자기 나름의 방법을 가지고 계산하는 것 역시 당연하다며 기다리는 시간이 주어진다면 '수학은
어렵다.'라는 생각보다는 '수학의 세계는 넓고 깊고 다양하기에 꼭 필요하다.'라는 아이들이 많아지지 않을까 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