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개의 관 동서 미스터리 북스 90
존 딕슨 카 지음, 김민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6월
평점 :
품절


두 건의 살인 사건이 발생했는데, 살인범은 전혀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공기보다도 더 가벼웠던 모양이다.-11


도저히 일어날수 없는 곳에서의 살인사건, 그리고 사라진 범인이란 이야기가 대부분의 추리소설속에 등장하는 이유는  아무도 풀지 못할것이라 내민, 밀실안에서 벌어진 모든 일들과 어디로 어떻게 누가를 알아내보라는 작가의 도전에  약간의 단서라도  찾아내보겠다는 독자의 의지가   재미를 높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존 딕슨 카의 '세 개의 관'은 이런 점에서 최고가 아닐까 싶다. 그리모 교수 살인사건에 관한 모든 정황들이 한 사람 혹은 그와 관련된 어떤 이 라는 단서를 주고는 있지만 그 용의자마저 마술같은 죽음을 당함으로써 이 두 사건에는 다른 진범이 있을것이라는 추측외엔 남은 것이 없게 된다. 그리모 교수가 죽기 얼마전 받은 협박과 그 후부터 보인 이상한 행동들, 그가 남긴 다잉 메세지는 이 사건이 어디서 시작된것인지 그리고 누구를 지목하는 건지 더 알수가 없게 만들게 된다. 거기에   두 사건마다 내린  눈 위에 남지 않은 흔적과 이상한 사건의 모습, 그리고 약간씩 다 수상한 주변 이들의 모습은 두 사건속에서 연결이 되지 않음으로 사건속에 이미 얼굴을 보인 누군가라는 생각말고 다른 추측을 섣불리 하지 못하게 된다.


사건을 풀어가는 펠 박사는  이 사건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찾아보라는 듯  이제껏 봐왔던 밀실사건의 여러 유형들을 꺼내며 정리까지 해주는데, 우리가 지금까지 보고있는  사건들이  1930년대에 이렇게 정리되어 나왔다는 게 신기하게만 느껴지게 된다. 물론 이런 범죄학의 대가인  펠 박사 역시 자신이 잘못 된 방향에서 사건을 풀어갔다는 사실에 한탄을 하기도 하지만 무서운 밤에나 어울릴 열린 무덤이라던가 죽은 자의 소환이라는 소재,  등장하는 사건속에 얽힌 인간들이 내뱉는 한마디 한마디가 어떻게 사건속에 관계가 있는 것인지 짚어가며   시간, 날씨, 장소에 우연까지 들어가 있는 사건이 어떻게  불가능으로 보이는 사건으로 변하게 된 것인지를,  "사실은 이렇게..."라며 풀어가는 전개에  역시  "존 딕슨 카" 라는 말을 하게 된다. 


 밀실 사건속에 등장하는 여러 사건들 중 그의 극찬을 받은 몇 몇 작품들(토머스 버크의 오터몰씨의 손,멜빌 데이비슨 포스트의 돔도프 살인사건등) 까지 눈을 끌게 되며 '미스터리 황금기'시대의 이야기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그가 보여줄 다른 사건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 시대 어떤 이야기들이 있었는지 미스터리 황금기 그 시대가 다시 궁금해지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