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줄 몰랐어
모르강 스포르테스 지음, 임호경 옮김 / 시드페이퍼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프랑스를 공포로 뒤덮은 충격 실화를 소설로 만들었다는 "죽을줄 몰랐어."는 이게 소설일까 싶을정도로   납치라는 무서운 범죄를, 아무나 찍어 대충 실행해보는 야세프라는 인물과 야세프 계획에 참여하게 되는 뒷골목 친구들의 이야기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 남의 돈을 쉽게 얻으려는 욕심만 가지고  사건을 일으키다 잡힌, 어리석은 인간들의 사건 일지쯤으로 여겼던 이야기는  납치된 엘리를 구할 의지는 있었던 건가 싶은  경찰들의 여유, 납치쯤은 쉽게 생각하는 뒷골목 사람들, 알면서도 괜찮겠지 지나가버리는 사람들의 무심함이 사건안에 있었다는 것이 드러나며  진짜 무서운 게 뭐였는지 알 수 없게 하는 공포가 생기게 된다.


 

프랑스 국적이면 뭘 해요? 일자리를 찾는 순간, 한낱 아프리카인이 되어버리는데요." 야세프가 취직하길 원했던 파리교통공사는 범죄자를 원하지 않았다. -29

조금씩 모으는 일반인의 삶보다는 한번에 일확천금 벌길  바라던 야세프라는 인물은 노력이라는 걸 모르는  거짓과 주먹만 믿고 살아가는  건달로 나오지만, 노력해도 벗어날수 없을거라는 한계를 먼저 느끼게 한 사회의 암울한 분위기가  그를 그렇게 몰아간건 아니였을까 싶어지게 된다.  야세프 역시 정통 프랑스인이 아니고 전과자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았으면서도 간혹 만나는 젤다에 대해 잘못 말한다던지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고 유대인에게  반감을 가지는 것으로 그 역시 인종에 대한 차별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고,  그가 꾀하는 범죄에 무심하게 동조하거나  그가 보이는 폭력앞에 입을 다무는 뒷골목을 살아가는 이들의 흔한 일상은 생각과 다른 프랑스의 뒷골목에서 앞으로 그 무슨 일이 일어나도 놀라지 않게 만들게 된다.


 

평범한 어른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은 평생이 걸려서야 가능하게 되는 것, 즉 인간의 섬뜩함을 단 며칠사이에 완전히 체험해버힌 얼굴이였다. 엘리의 얼굴을 이렇게 변모시킨 것은 타인의 비열함이었다. 엘리는 악의 학교에서 3주를 보냈다. 그의 두 눈은 감겨있지만 감은 두 눈은 크게 부릅뜬 눈보다 우리를 더 잘 보고 있으리라. -204

유대인이니 돈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과 그렇지않더라도  유대감 강하다고 알려진 유대인이니 알아서 모아서들 내주겠지 하는 섣부른 판단으로 시작한 어이없는 계획에 무조건 끌려온 엘리, 야세프가 요구하는 돈도 없지만  그래도   전문가인 경찰들의 대처를 믿은 엘리 부모님, 풀어줄거라는 야세프 말만 믿고 내일은 보내겠지란 안일한 생각으로  일상생활을 하며  기다리는 공범들, 떠벌리는 이들에게 납치란 말을 들었으면서도 설마 그런 일까지는 아니겠지 하고 넘겨버린  이웃들이나 친구들...


엘리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어떻게 시작된건지, 누구 누구가 어떻게 참여하게 됐는지를 자세히 써간 이야기는 코미디 한 장면처럼 몸값을 주지 않을것 같으면 마구 가격을 내리거나 피해자 가족이면 누구에게나 전화를 해  마구 화를 내는  야세프의 이런 엉터리 계획이 통하지는 않겠지 라는 희망과  납치 작전에서 빠지겠다며 불안에 떠는 공범자들이 지인들에게 그럴줄은 몰랐다며  마구 내뱉는 이야기를 듣고 누군가는 경찰에 신고를 하고 엘리를 구하겠지라는 생각을 하게 하지만    우리가 뉴스에서 만나는 사건들 역시 이런 것들이 아닌가 싶다.   경찰이 빨리 갔더라면, 그 씨씨티비를 조금 더 빨리 파악했다면, 그 때 그 사람이 말만 전해줬더라면..이라는 수많은 가정속에 막을 수 없었던  죄없는  피해자들의 불행 역시, 이런 수많은 가정들 중 하나도 이뤄지지 않았기에 생긴것이기에 2006년, 먼 프랑스에서 벌어진 르포 소설 속 이야기가 꼭 그 곳에서만 있는 일이라 볼 수 있을까 싶다.  



사실이란 없다. 해석만 있을 뿐이다.-10

 인종차별과 종교, 이런 거창함으로  이슬람 테러리스트라는 생각지 못한 관심을 받게 된 야세프의 이야기는   타인 생명의 존엄을 몰랐기에 벌어진 있어서는 안되었을  사건 이야기이자  ' 그럴줄 몰랐다.'는 수많은 사람들의 같은 소리가  사람의 생명을 빼앗을 수도 있다는 걸 알려주기에,  이런게 진짜 무서운 이야기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