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석의 문장 2 - 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무엇일까 한국어 글쓰기 강좌 2
고종석 지음 / 알마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감정이 솔직하지만 과하지않게, 그리고 간단하게  나타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읽은 글에 대한 느낌 몇 자를 적어가면서  느끼게 된다.  머리속에 들어있는 생각들을 쭉 꺼내다보면 어느 새 "그리고, 그러나"를 달고,  비슷한 문장들이 나열되기 때문이다.  거기에 늘상 반복되는 단어의 조합은  내가 사용하는 단어가 이 정도구나 하는 걸 명백히 보여주기에  좌절을 느끼게 된다. 


나같은 고민에 대한 수강생들의 질문과 그것에 대한 답으로 이루어져있는  '고종석 문장2'는  좋은 글이란 명료하고 아름다운 글이란 말로 시작되고 있다.   아름다움과 명료중에 굳이 택하라면 명료를 택하겠다며  김 현 선생님의 '말들의 풍경'에 관한 것과 자신이 지은  '자유의 무늬'를 지금 눈으로 본다면 어떻게 고치는 게 나을지,  어떤 시각으로 적은 것인지를   짚어가며 글쓰기 방법을 풀어가고 있다.


우리가 흔히 무시하기 쉬운 '시키다'와 '하다'의 차이라던가 '자기'와 '자기자신',그리고 '자신'이 들어간 문장에서의 헷갈리는 부분이라던지 '다름 아닌' 이 일본말투이니 '다르지 않은'을 사용하는 것이 낫겠다, 사투리에도 옳은 소리가 있다 등등의 문장과 말의 군더더기를 어떻게 조율하는 것인지를 설명해주고 있다.빈번한 접속사의 사용이나 반복 어구의 사용,  틀린 단어 사용 자제를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뜨끔하기도 하고  늘 사전을 사용하라는 것이나 시를 많이 읽으라는 조언, 그리고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오지만 전혀 다르게 쓰이는 우리 말의 다양함과 깊이를 찾아 연습해보라는 것, 무엇보다도   글에는 저마다의 올바른 마음이 들어있는 스타일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않겠나 싶다.  


혼자 글쓰기를 하다보면 자신만의 고집으로 만들어지는 스타일도 있기 마련인데,  앞으로는  글 잘쓰시는 분도 감탄했다는 분들의 글을 관심있게 보면서 '좋다.싫다.' 라는  막연한 느낌만 갖던 것과는 달리 한 문장안에 놓인 조사나 단어의 조합도 눈여겨봐야겠다는 생각이다.자유롭고 행복한 글쓰기란  자주 쓰는 것에서 이루어진다는 이야기가 떨구어진 고개에 희망을 주지 않나 한다.

 


"글 쓰는 삶은 생각하는 삶이고,

생각하는 삶은 좋은 삶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