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이임숙 지음 / 무한 / 201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은 기다려주면 더 많이 배우고 더 빨리 자라고 그리고 그만큼 행복도 자란다는 걸  이만큼 자라기전에 알았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을 가질때가 많다.​  교육이 왜 백년지계인지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왜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것인지를  아이들에게  엄마 손이 예전만큼 필요하지 않는  요즘 더 생각해 보게 된다.  초보 엄마가 되면서 나름의 기준을 세우고 밀어붙인 일들이  그러지않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나  그 때 알았더라면 그렇게 하지 않았을텐데 라는 후회를  가지고 있어서인지   엄마라는 이름을 준비하거나 이제 막 이름표를 달기 시작한 분들, 아니면 나처럼 꽤 많은 연차를 겪은 후에  더 자신없어지는  엄마들을 위한  '엄마가 되기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의  스무가지  깨달음이  금방 와닿게 된다.


적절한 타이밍의  '당근과 채찍'은 늘 필요하다는  생각이였는데 그것으로는 아이의 진짜 마음을 얻을 수 없다는 이야기가 어느 정도 해탈의 경지에까지 올랐다는 생각을 한 내게  아직도 많이 부족한 엄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채찍과 당근은 아이를 내 마음대로 세운 계획에  잠깐 눈돌리게 하는 순간의 미끼가 될뿐 진정한 동기가 될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보니, 지금도 어떤 방법이로든 아이를 끌고가는게 엄마의 역할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기에 아이와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았던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기때문이다. 


 부모들이 오냐 오냐, 어느 정도 잘 따라온다 싶은 아이와  대립하는 시기가 올 때가 있다. 그 때부터였을까,  대부분의 우리는  굳게 결심하게 된다. 지금 내가 밀리면 아이에게 지는 것이니 절대 지지않고  이번 기회에 기를 눌러버리겠어라는 전투 의식을 보이게 되는데, 그건  아이와 눈높이를 맞추는게 아니라 아이의 나이에 우리의 나이가 맞춰 낮아지는 거라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었다. 이야기중에도 나오지만 아이의 나이가 한살이면 부모의 나이 역시 한살이라 한다. 그렇기에  다 큰 어른과 아무것도 못하던 아기가 만나 이제부터  하나씩 같이 배워간다는 생각을 해야 하는데  우리 역시 '어린 어른'인지라  '무조건의 보호'를 위해 자기만의 판단으로 혼자 끌어가고 해낼수 있다 싶었을 것이고   조금씩 자라서 이제  자기 자리를 스스로 찾고 싶어 방황도 하고 싶은 아이가  닦아 놓은  길로 가지 않는 걸 무조건  답답해한건 아니였나 싶다.   물론 우리는 아이를 위해 이것도 저것도 포기했다 생각하지만 자라면서 보는 아이 입장에서 보면 이것도 저것도 우리가 아닌 '오로지 너를 위해'라는 게 이해도 안 될뿐더러 무겁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 일이니 말이다. 


 세상 모든 엄마들에게 전하는, 혹은 아버지들에게 전하는,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아이와 눈을 더 많이 맞추고 더 많이 놀고, 더 많이 웃는 아이로 키우리라는 이야기가   많은 아이를 봐 온  선배 엄마의  훌륭한 육아 조언이면서 ​ ​아이와의 좋은 관계를 만드는 데 있어서 자기가 놓친게 있는 게 있을까  궁금한 이들에게  많이 기다려 주는지, 많이 웃어주고 있는지, 그리고 무엇보다 나 자신의 중심을 잘 잡고 있는지 하는 우선  자기의 행동을   돌아볼 시간이 되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