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만든 사람들 - 일생에 한번은 역사에 미쳐라!
현경병 지음 / 무한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라 하던 공자에서 만리장성, 지금의 'made in china'로 대표되는 중국은 늘상 우리 옆에 있었음에도 자세히 들여다 볼 기회가 없었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나라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늘 궁금했는데 중국을 만든 12인이라는 말에 혹하게 됩니다. 자기 충실형이란 평을 받는 공자에서 일방주도형이라는 진시황, 낙관생존형이라는 등소평까지 각 인물들이 그 시대를 어떻게 헤쳐가야 했는지 그리고 지금의 우리가 배워야 할 점들이 정리까지 되어있어 저자 현경병 님의 말처럼 역사뿐 아니라 세상의 이치를 깨닫는 법, 용인술과 처세술등을 생각해 볼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많이들 알고있는 초한지나 삼국지에 등장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실제와는 다르다는 이야기나 (바둑을 두며 상처 치료를 한 관우와 명의 화타의 이야기가 말그대로 이야기 라거나 생각보다 조조가 인재등용에 있어 더 넓었다는  등등의  이야기가...) 사자성어가 생길만한 상황들,  그렇게 12인이 주로 나라를 다스리며 생긴 일들로  진행되는데 역시나 공자의 말씀처럼 '민무신불립' (국민의 믿음이 없으면 나라가 서지 못한다.) 이구나 하게 됩니다.  다들 통치를 잘했거나 이름을 날릴만한 인물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들이지만 후계자를 세울 시기인 막판에 가서는 아무래도 정치를 소홀히 하고 자신의 힘을 너무 즐겨 백성들의 마음을 잃고 말년에 고생한 이들이 많기에 말입니다. '타산지석'이란 건 이럴때 써야하는건 아닌지, 매일 누군가의 비참한 말로를 보면서도 막상 자신의 일이 되면 또 달라지게 되는,  초심을 지킨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건지를 새삼 알게 됩니다. 

 

이렇게 등소평까지 이어지는 이야기에서 중국의 긴 역사를 시대별로 한번 훑고 난 느낌을 받게 됩니다. 고난을 자신만의 집념,때로는 아집으로 이겨낸 이야기가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같게 다가오지는 않겠지만  자신이 알고 있다 여겼던 것과 조금은 다른 이야기도 생각해보게 되고,   역사의 흐름을  인물과 사건, 그리고 상황으로 연결시켜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에 더 관심이 가지않을까 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