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나라의 앨리스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38
안트예 스칠라트 지음, 이덕임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 세상의 많은 정보가 우리를 매우 편하게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반대로 매우 불편하게 만들어주기도 한다. 이런 일들은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고 덜 사용하고의 문제가 아닌채로, 잘못된 기사나 소문에 등장한 엉뚱한 인물의 신상이 털렸다던지 어떤 아이를 인터넷 왕따를 만들었다던지에서부터 여행간다 올렸던  글을 보고 살짝 그 집에 들려주신 낯선 분들에, 거대 기업의 덩치에 대한 신뢰로  맡겼던 많은 이들의 정보가 (물론 나도 포함해서) 한번에 다 털렸다는 말이 요즘 뉴스에서 사라지는 적이 없다.  그럴때마다  인터넷 사용과 그 위험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해보게 된다.  때로는 가볍지만 귀찮은, 그렇지만 정신은 똑바로 차려야 하는 전화나 메일을 받는 정도-잘 하면 전재산이 날라가는 정도-겠지만  어떨 경우에는 블로그나 sns 등에 이쁘니까, 소중하니까 내 사사로운 공간이라 생각 해 올렸던 순간들이 원치않는 누군가의  시선에 의해  나를 위험하게 만들수도 있다는 걸 말이다.

 

'질주하는 리타'라는 이름으로 블로그에 자신 학교에 대한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적어가는 앨리스는 자신이 리타라는 걸 아무도 모를것이라 생각했던것과는 달리   아이들이나 선생님들의 의심스런 시선을 받게 되고, 그 블로그때문에 불평등한 대접을 받고 있다는 절친 카트야의 불평도 듣게된다. 하지만 늘상 자신의 자유가 더 중요하다는 것과 자신의 글이 무책임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진 앨리스이기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버텨나가지만 누군가가 자신을 지켜보고 있다는 걸 알게 된 순간 자신의 사적 공간이라 믿었던 블로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내가 너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것은 네가 나에게 말해준 거야." 26

이런 말을   오랜시간 이야기 나누며 생활을 같이 한 이에게 듣는다면 당연하고 다정한 말이겠지만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가 슬쩍 보내온 메일속에 담겨진 말이라면 그 어떤 공포 영화보다 더 무서운 오싹한 이야기가 되고만다.

  

앨리스의 블로그에 들어와 그녀의 광팬이 되어버린 무서운 스토커가 등장하면서 앨리스와  우리는 인터넷의 위험을 새삼 느끼게 된다. 그렇게 됨으로써 주위에 다가와 말을 걸거나 바라보는 아이들에게 이번에는 의심의 눈초리를 앨리스가 던지게되고 절친마저 자신과 생각이 달랐다는 걸 알게 되는 무서운 진실과 마주치게 된다. 

 

아이들도 자신들이 올리는 글이 때로는 누군가에게 흉기로 다가갈수 있다는 걸 알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잠시의 감정을 어쩌지 못한 채 올리고 나중에 후회된다면   자신의 글을  지우면 된다 싶겠지만,  누군가가 이미 보거나 퍼간 후라면 지우고 싶은 그 순간이 평생 내가 모르는 누군가의 입과 눈으로 떠돌게 된다던가 누군가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의 그 부분만 보고  마음대로 판단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지금 한참 인터넷 세상의 속도에 재미들린 아이들에게 더 쉽게 다가가지 않을까 싶다.  얼굴보고 차마 하지 못한 말들을 솔직하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싶었던 일이 돌아보니 누군가를 쉽게 험담하는 일이였다는 걸 깨달은 앨리스의  후회를 보며  아이들뿐 아니라 우리 역시 무심히 바라 본  자신들의 인터넷 공간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너희들이 남긴 온라인 프로필은 전 세계로 퍼져나가 사회적 정체성으로 자리 잡게 된단다....

     ...  이렇게 형성된 정체성은 일생 동안 너희를 계속 따라다니게 될거야."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