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할아버지
곽영미 지음, 남성훈 그림 / 다섯수레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닙네다. 기냥 보낼 수 없지요."

라는 말을 듣는다면 누구나 다 놀라지 않을까 싶다.  우리말이지만 왠지 쓰면 안 되는 말이 되버린 '동무'나 '..합네' 라는 말을 쓰는 누군가를 보게되면  간첩이란 생각까지는 아니더래도 왠지 꺼려지기는 할 것이다. 라디오나 티비등에서 자신들이 북에서 가족들과 함께나 혹은 혼자라도  남쪽으로 내려올 수 밖에 없었다는 사연을 듣고 있노라면 가슴이 어찌나 아픈지 빨리 통일이 되어 같이 잘 살았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면서도 막상 내려와 있는 그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은 너무 적었던 건 아닌지 '옥수수 할아버지'를 보면서 생각해보게 된다.

 

나,민호, 건이 이렇게 삼총사는 옥수수밭에서 놀다가 옥수수를 훔치러 왔냐는 말을 하는 수상한 할아버지를 보게 된다. 이상한 느낌을 받은 아이들은 그 다음날 자신들의 학교에 그  할아버지가 오신 것을 발견하게 되고  그 할아버지가 뭔가가 수상한 사람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거기에 할아버지의 어투나 단어가 우리에게는 낯선, 북쪽에서 쓰는 말이라는 걸 알게 되자 그들은 간첩인것이  틀림없다는 생각으로  할아버지를  따라가며 증거를 찾기로 한다.

 

이 이야기는 손주를 북한에 두고 와 매일같이 유치원에 오셨던 할아버지의 실화를  쓴 것이라 한다. 그래서인지 쓸쓸하게 홀로 의자에 앉아 가족들과 닮은 이들이 지나가는 모습을 바라보는 사람을 상상하게 된다.  남과 북이라는 선으로 나누어져 이제는 같은 단어도  아이스크림은 얼음보숭이, 소시지는 고기순대, 파스텔은 그림분필, 스크랩북은 오림책이라는 서로가 낯선 단어를 쓰게 된 우리들은 통일은 되야 한다거나 북에서 무슨 일을 했다던지에 관한 관심은 보이면서도 막상 같이 살게 된 북에서 온 이들에 대한 이해는  없었다는 걸 아이들과 이야기 해보게 된다.   북에서 오신 분들을 만나게 됐을 때  보게 되는   낯선  그분들의 행동이나 말이  다르게 느껴지는 게 당연하다는  것이나  그 분들이 어렵게  찾아 온 자유의 소중함, 그리고  예전보다는 옅어진  통일에 대한 생각을 해 볼  좋은 시간이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