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이 비틀거릴 때 - 열정과 냉정 사이에서 마음앓이 중인 나를 위한 심리카운슬링
랜디 건서 지음, 박미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말한다. 석양을 뒤로하고 손잡고 걸어가는 노부부의 아름다운 모습이 너무 부럽고, 지금 내 옆에 있는 이와 나 역시 그런 그림의 주인공이 되고 싶다고들 말이다. 막연히 좋아보이기만 했던 그 그림은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야 알게 된다. 나이가 들었음에도 손을 잡고 어딘가를 같이 행복하게 걸어갈 수 있다는 건, 그 둘이 정말 많은 시간동안 노력과 정성을 다했다는 걸 말이다. 책이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쭉 계속되는 사랑은, 이뤄지기 힘들다는 걸 알게 된 어른들의 간절한 바램이 만들어 낸 동화쯤은 아닐까 싶다. 누구와 오랜 시간을 같이 보낸다는 건 분명 설레임만으로는 안되는, 순간 순간 누군가의 양보와 배려가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사랑에 푹 빠졌으면 좋겠다는 우리의 바램을 하늘이 듣고 보내준 ' 바로 그 사람' 이지만 살다보면 어찌나 이웃집 여인네나 남정네가 부러운지... 화장실 가기전과 나온 후가 다른게 사람맘이라지만 어떻게 하다 이렇게 되었을까 싶다. 분명 다른 우리기에 즐겁기만 하던 때가 있었건만 어느 순간부터는 다르기에 이해하기 어렵고 바라보기 힘든 일이 될때가 있다. 그건 처음 찾아 온 '이전과 달라진 느낌을 주는 상대방'에 대해 솔직하고 나즈막히 이야기 나누지 않고, 참는다거나 혹은 모른 척이라는 쉬운 방법으로 넘긴 다음부터 가속도가 붙은 속도로 커플들에게 무시할 수 없는 묵직함으로 다가오게 되는 거라며 40년, 10만 시간동안 상담해온 심리학자 랜디 건서는 말하고 있다.
그녀는 사랑한다면, 누구라도 만나게 되는 여덟가지 위험을 실망,권태,갈등,돌봄,집중,단독플레이,보금자리,동행이라 이름 붙이고 그 걸림돌들을 가뿐히 넘어갈 여러가지 대화법과 감정처리 방법등을 알려주고 있다. 역시나 자신과 지켜내고픈 상대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선 우선 침착하고 객관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정리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같은 일을 바라본 후, 때로는 남의 일인양 지난 이야기라도 꺼내어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녀가 매 걸림돌마다 만들어놓은 상대에 대한 내 감정이나 우리의 관계를 체크해볼 수 있게 해 놓은 10개의 관계지수들은 조용히 살고 있다 여겼던 나 역시 어쩌면 아슬아슬한 지점을 지나고 있을 수 있다는 걸 알려주고 있다. 그녀는 말한다. 그토록 열렬히 사랑했던 당신의 연인은 아직도 당신안에 그대로 있다고 말이다. 단지 반복된 실망과 작은 오해들이 내가 그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이다. 위기의 순간에 그 혹은 그녀가 내밀었던 따스함은, 단조로운 일상을 빛내주던 그때의 가슴 두근거림은 그리고 그 때 생각했던 사랑은 아직도 당신과 그 사람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고 말이다.
처음 사랑에 빠졌을때의 기억이 살아있는 당신이라면, 그리고 그 때의 마음을 다시 가지고 싶은 당신이라면, 약간의 달라진 기술로 마음앓이를 끝낼수 있다는 이야기가 "그 때 그 사람"을 멀리서 찾는 당신의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는데 도움이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