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에서 살아남는 법 - 우주의 모든 비밀에 답하는 물리학의 핵심 개념 35가지 사이언스 씽킹 2
폴 파슨스 지음, 이충호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블랙홀에서 살아남는 법' 이 아니라 "물리학이 지루하다는 생각은 편견에 불과하다." 라는 이 책의 저자의 저자 폴 파슨스의 말에 끌려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고등학교 이후로  배워야 했던  약간의 물리가  한국말이였음에도 새로 배우게 된 독일어보다도 어찌나 낯설던지, 수업시간 내내 이 별, 저 별을 내 맘대로 왕복했던 기억이 있기때문이다.  <들어가는 말> 편에 보면 그에게 물리학을 가르치신 두 선생님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모든 물리학을 에비양 생수보다 더 투명하게 만들어줬다는 한 선생님처럼까지는 아니더래도 그가 나에게 물리학과의 먼 거리를 조금이나마 가깝게 해 줄 수 있을까,  조금은  물리를 잘 보이게 알려줄 수 있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보게 된다. 우리의 생활에서, 혹은 영화나 소설에서 보던 흥미있는 부분은 당연하고 주식시장의 변동 예측이나 선거판 예측같은,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모든 일에  물리의 개념이 들어가 있다며,  환상적인 롤러코스터를 만드는 법에서부터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법까지 모두 35쳅터로 나누어 설명되어있다. 

 

재미로 줄서 타기만 했던 롤러코스터  이름부터 그 모양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에너지 보존 법칙, 위치와 운동 에너지, 그러다 보면 만나게 되는 뉴턴의 운동법칙까지 ... 그렇게  순조롭게 시작되어 모든 롤러코스터에  있는  안전장치가 아주 느리게 회전하는 롤러코스터가 아니라면 불필요하다는 친절한  원심력, 구심력 설명으로 약간의 서늘함을 주기도 하거니와 매년 문제가 되고 있는 허리케인을 빗나가게 할 수 있다는 여러 가설과 행동 이야기 등, 여러 재미있는 이야기들에 우리가 소설에서 만났던 소설가들의 주장이 사실로 되었거나 그럴 수 없다는 이야기로 우리의 흥미를 이끌어주고 있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를 보고  연쇄 핵분열 반응을 지속시키는  매커니즘을 생각한 실라르드나 모든 물리학에 상대성이론을 가지고  등장하는 아이슈타인마저도 대세를 따르기 위해 맞았던 자신의 이론에 '우주 상수'라는 모호한 항을 방정식에 넣음으로써 텅 빈 공간에 에너지가 숨어있다고  살짝 손본 적이 있었다는 이야기(10년동안만 훌륭하게 통했다고 한다), 소리가 고통을 유발한다는 점에 착안 해  나온 무기( 많은 과학자들의 발견 내지는 발명이 대부분은 무기와 연결되기에 아쉽다는 생각을 하게 하기도 한다.), 연금술사들이 그렇게나 노력했던 납을 금으로 만들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과 거기에 숨어있는 반전의 비밀 등, 우리가 흥미를 가지고 있을 만한 이야기속에 들어있는 물리이야기를   전이나 다음에 나올 이야기와 엮어가며  친절하게 이어가기에  '그랬나?' 혹은 ' 그랬지.' 하며 따라가보게된다.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더 이상 초능력자나 사기꾼의 전유물이 아니고  조만간 다른 사람의 꿈까지 해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날이 올꺼라는 말도 나오지만, 이렇게 다양한 물리학의 세계가 요즘 우리 나라에서는 힘을 크게 못 얻고 있는 건 아닌지...  찬찬히 어려운 전자, 원자, 공식들을 한줄씩 따라가며 읽어야 하는 물리학의 문외한보다는 훨씬 낫게 읽어가는 아이들이 폴 파슨스가  전해주는 이야기에,  사실은 가까운 곳에 늘 있는 물리학을 조금 더 재미있게, 그리고 깊이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생각을 해보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