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멩이
김혜진 지음 / 푸른영토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언제부턴가 우리의 성장 소설은 폭력을 담고 있다. 처음에는 폭력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놀라웠지만 지금은 그렇게까지 잔인할까 라는 생각으로 놀라게  된다. 분명 뉴스에서 만나 본 얼굴들은 우리 집 근처에서 만나 본 얼굴들과 그다지 다르지않은데, 누군가는 그동안의 상처로 그 나이가 믿어지지않을 정도의 쾌활과 반짝임을 잃었고  또 그 반대편에 있다는 누군가는 그저 장난이였노라고 , 그 아이가 그렇게 상처입었을 줄은 몰랐다는 말을 한다.  그런 일이 있구나 싶기는 하지만, 이런 일들이 진짜 뉴스에서나 보게되는 일이였음을,  드물기에 뉴스에 나오는 일일거라고 마음속에 주문아닌 주문을 걸어보기도 하지만,   언젠가  뉴스에서 의도된 괴롭힘으로 고민하는 초등학교 2학년 아이와  그냥 놀다가 일어난 일이라는 상대편 아이와 선생님 인터뷰에는 또다시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나이라면 상상에서도 할꺼라고 생각해본적 없었던 욕설과 행동이 있었다는 것은 인정하고 있기에 그것이 의도에서건 장난에서건, 아이들이  다니고 있는 '학교'와 심지어는 '집' 이라는 공간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 생각처럼 쉽게 해결되는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적이 있었다.

 

'돌멩이' 역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라는 아직 어린 나이의 아이들이  잔인한 학교 폭력에 휩쓸리고 있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렇지않아도 집에 별로 들어오지 않던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된 찍힘,  생활력뿐 아니라  기운마저 별로 없는 엄마, 끊임없이 이유도 모르는 폭력에 휩쓸리게 된 형'건'의 방황, 이 모든 것들은 아직 초등학교 5학년 '현'이의 인생마저 흔들어놓게 된다. 우리가 늘상 말하는  '모르는 게 있으면 , 어려운 일이 있으면 선생님께 여쭤봐.'라고 말했던 절대적 믿음과는 달리  선생님마저 학급이나 자신의 눈앞에서 일어난 일을 잘 알지도, 현명하게 처리하지도 않은 모습이거나  달라진 아들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는 엄마의 슬픔, 무조건 자기 자식이 옳다는 부모의 모습으로   아이들보다는 어른인 우리들이 읽고,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서의 일을 잘 알아봐야 한다거나 아이들에 대한 관심이 지금과는 달라야 한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

 

세상에 혼자 남았다는 생각으로 절망하고 있던 현이가 어른이 되어  '이젠 다행이다'싶었지만 아직도 예전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그들 가족의 모습, 차라리 정신을 놓은 건이와  폭력이라는 기억속으로  끊임없이 되돌아가는 현이의 모습은 폭력이 다시 폭력을 만든다는 걸 보여주게된다.  우리는 그냥 던진 돌멩이에 개구리는 맞아 죽는다 했던가.   넘어지기 전에는 몰랐던 돌멩이에 걸렸을 적의 아픔,그제야 보이는 어디에든 널려있는 돌멩이가 매번 현실이 된다는 어쩌면 폭력을 모른 척 했을때 생길 수 있는 슬픈 이야기로 자기 자식만 이쁜 고슴도치 부모, 그냥 올 한해도 조용했음 하는 선생님... 아직 어린아이들에게 위로가 되어줄 수 있는 어른들의 행동에 반성이 없다면 새로운 시작도 없다는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다.

 

"우리가 사는 날들에는 위로가 필요한 날이 더 많았다.  세상에서 끝까지 나를 믿고 이해해줄 사람이 우리에게는 필요했다."  --P.118

 

"희망에도 생명이 있다는 것을. 그래서 꺾으면 아파하고 때로는 깨어나지 못해 끝내 사멸할 수도 있다는 것을."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