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은 배우는 게 아니다 -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산문.시편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
주영숙 엮음 / 북치는마을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암 박 지원, 국사책에서 많은 일을 하신 분이라는 설명과 약간의 암기로 만나게 된 연암에 대해 같은 시대에 살았던  다른 이들과는 달리 잊어버릴 수 없는게, 나이가 들어 갈수록 곳곳에서  글쓰기의 대가라는 소리와  아름다우면서도 또 소탈한 문장가라는 이야기를 듣게 되기때문일것이다. 그래서, 그 분의 작품을 번역본이라도 제대로  읽어보고 싶지만  진중하지 않은 나에겐 힘든일이었다.


나같은 이들이 아무래도 많이 있는지 저자 주 영숙님은 보물창고같은 연암 박지원의 글을 요즘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게 하기 위한 고민으로 "작품으로 읽는  연암 박지원/소설'편과 산 문, 시를 엮은 "눈물은 배우는 게 아니다."를 펴내게 됐다는 설명을 하고 있다. 여러 곳의 아름다움이나 자신의 실수, 혹은  느낀 점, 그 당시 그의 벗이나 지인들과 나누던 이야기들, 그리고 그가 예상외로 과학에도 관심이 많았다는 점들을(물론 농업에 그가 많은 관심이 있었다는 것은 역사 선생님을 통해 알고는 있었지만서도...)알게된다.

 

 "혼자 사는 즐거움"편에 나온 '기상새설'이라고 써주었건만 그리 좋아하지 않는 주인장의 안목에 늘상 써 본 글자가 아니라 손에 익지 않았나 보다라 하면서도  심히 투덜거리며 더위가 더욱 찌는 듯하다 라  말하던 그가, 나중에  알고보니 그 글이 국숫집을 가르키는 말이라 그랬다는 것을 알고 자신의 실수를 주변에 이야기하고 웃게 된 일이나( 한자를 사용하던 그가, 심지어 명문장가이기에 오히려 너무 잘 이해해서   이해 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내가 마냥 흐뭇해지는 건 아마도 심술보일수도...) 되놈소동에서의 일들, 그리고 일과 월이 한자로 붙으니  명나라를 지칭하는 명이 될까 싶어 시 대구를 지웠다는  시대를 알 수 있는 이야기나  벗들에 대한 마음을 솔직히 이야기하거나 슬퍼하는 부분에 있어서 역시 그의 인간적인 면이나 소탈한 면을 보게 되고, 그리고 매력적인 글쓰기편에서는 '거의 작가가 될 수 있다'하는 여러 방법들에 관한 이야기들이 들어 있어 그의 글쓰기에 대한 철학을 알 수 있기에   오래도록 그의 이야기를 새겨보려 하게된다.


그의 시 또한 눈물이나 기다리는 마음, 그리고 형님 얼굴로 아버님을 그려보다 이제는 형님 얼굴을 냇물에 비친 나에게서 찾는 다는 '연암에서  선형을 생각하다.'라는 시등  그가 양반의 기품어린 모습보다는 조금 더 한가롭고 생각도 많았던, 그리고 감정도 풍부한 인물로 다가오기에 그가  가깝게 느껴지게 된다.  다음에 그의 글을 어디에선가 보게된다면  더 반갑게 느껴지지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