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개주막 기담회 케이팩션
오윤희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 줄 얘기가 있는데, 들어보지 않으련?"-278

삼개주막은 한양 도성에서 서남쪽으로 십 리쯤 떨어진 마포나루 어귀에 있는 주막입니다. 장삿배들로 언제나 북적인다고 하는데요. 그래도 장사치들이 이 곳에 모이는 건 다른 무엇보다 주모 김씨때문아닐까 싶네요. 물 넘고 산 건너 오가는 이들의 사정봐가며 부어주는 뜨끈한 장국 한 그릇에 막걸리라면 피곤을 씻게 해주었을듯싶으니 말이죠. 양반이냐, 장사치냐를 따지지 않고, 물가 시세에 따라 달라지지도 않는 언제나 같은  깊은 맛이니 더더욱이나 말이죠.


주막에 모인 이들은 밤을 보내다보면 자신들이 겪거나 들은 이야기를 하기 마련인데요. 누구나 낯선 이의 기이한 이야기를 좋아하지 않을까 싶네요. "들어보시겠수??"라는 한 마디면 몰려오던 잠도 당연 달아나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전설의 고향에서 봤음직한 이야기들을 하고 듣는데요. 역시나 원한이라는 게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를 보여줍니다. 내 인생(물론 죽은 이도 원한을 품고 나타났더니 생전 인연있었던 이가 죽게되는 걸 본다면... 살아있던 인간을 저 세상길로 데려가는 게 어찌되었든 좋기만 하지는 않았을겁니다.) 증오로 보내자니 아깝고, 그렇다고 복수를 안 하자니 나만 억울할것이고...6개의 이야기를 들으며 자기 판단이라는 게 생기게 될텐데요.


배우자의 얼굴을 안 보고도 그려주는 신기한 능력의 소유자 "그림 그려주는 노인"이야기부터 시작됩니다. 그런 능력이라면 좋겠다 싶은데 역시나 뭔가를 알게되는 능력이라는 건 그래서 생기는 결과에 책임도 져야한다는 걸 보여줍니다. 마냥 부럽기만 한 능력이란 건 세상에 없을지도 모르겠다 싶게 만들만큼요. 그런 이에게서 "너는 장가를 못 드니까."라던지 "그림을 그려줄 수 없소."라는 말을 듣는다면...미리 숨이 턱 막혔을 거 같으니 말입니다.


낳은 정이 중요한 것인가 기른 정이 더 깊은 것이냐에서 역시 배우자의 바람은 원한을 깊게도 쌓아놓는다는 만고불변의 진리, 그리고 "염매"에 관한 끔찍한 이야기가 조선왕조실록에도 금지한다며 나왔다는 오싹하게 만드는 이야기등 오랜만에 인간과 귀신,복수와 용서라는 제대로 된 옛날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되는데요.


2편에서는 더 기이한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생기게 됩니다. 주모의 잘생긴 아들 선노미와 우리도 알만한 선비의 등장은 "삼개주막 기담회"가 더 복잡한 일에도 연관있어 지는 게 아닐까 하는 걱정을 만들게 되니 말이죠.


"죄를 지으면 자손이 잘못된다는 말이 있지않나. 그러니 착하게 살아야지."-264

분명하게 결론지어주는 권선징악 이야기가 그리운 이들이라면 더 재미있지 않을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