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 Clean - 나쁜 감정은 씻어내고 좋은 감정을 채우는 마음 혁명
구사나기 류슌 지음, 류두진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님들의 말씀을 들으며 무거워진 마음을 털어내곤 하는데요. 너무 좋은 말씀이다 싶어 아는 이들에게 이런 말씀을 들었노라 전하려하면 다들 그럽니다. 그건 당연한 거 아니야? 안 좋은 생각이 들 때 마음을 가라앉히고 주변을 돌아보기 전에 나를 돌아보면 답이 보이는거지...라고요. 그렇게나 잘들 알면서 나를 포함한 이들은 왜 자신을 돌아봐도 현명한 답을 못내는건가 싶은데요. 이제보니 마음에 있는 얼룩이 내 안의 지혜를 감추고 있었다고 합니다.

 

나쁜 감정은 씻어내고 좋은 감정을 채우는 마음 혁명 "클린"은 뭔가 불편한 게 있다는 생각이 드는 거라면 "마음의 얼룩"이 있는거라고 합니다. 그 얼룩은 놔둘수록 짙어지는거니 있다는 걸 알았을때 지워야 한다고 하는데요. 물론 그 얼룩은 잘 지워지는 기술을 써야한다는 겁니다. 멈추기(쓸데없는 마음의 움직임은 멈춘다.부정적 반응이 찾아온다 싶을 때 ), 닦아내기(스트레스나 잡념을 닦아낸다), 선긋기(나외의 일에 쓸데없는 신경쓰지않기, 나답게를 찾는다), 다시 세우기(실수로 동요하지 말고 후회나 미련등 부정적 마음에서 다시 벗어난다), 뛰어넘기(괴로움의 원인을 밝혀내고 효과적 방법으로 극복해나간다), 이 5단계를 거치는 기술인데요. 이 모든 건 붓다(깨달은 자) 의 지혜에서 온 것이라 하는데, 꼭 종교를 따지지않아도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기에 합리적 마음 설명서라 부를만합니다.

 

1단계 마음을 멈추는 사람이 되야한다니 우선 그게 가능한가 싶은데요. 흘끗 보거나 듣기만 하는데도 의식없이 부글부글 올라오는 생각들을 어찌 멈출 수 있을까 싶은데 그건 또 이해하는 힘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어떤 일들이 이래서 생겼을 것이다..라는 주관적 해석이 우리가 말하는 일반적 이해라면 불교에서는 존재하는 것을 존재한다고 아는 것을 뜻하는 거라고 합니다. 반응하지 않고 해석하지 않는것이라니 알듯 모를 듯한데 주어진 설명을 보면서 "반응"이라는 걸 알게 됩니다.

 

이 이해의 힘을 가져야만 괴로움이 사라지는 건데요. 망상을 끊어내는 사티(알아차림) 의 처음 단계는 생각보다 쉽습니다. 뭔가가 나쁜 쪽으로 의식이 돌아갈 때 부정적인 말을 하지 않는 겁니다. 무심코 했다고 해도 버릇이라 나오는 부정적인 말을 주워담지 못한 걸 후회해서는 안되고 내 버릇이구나 라는 자각, 그리고 다음에 와야 할 긍정적인 말의 내뱉음과 천보선(숫자를 세면서 천 걸음걷기)같은 방법으로 시작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러고보면 뭔가를 깨닫기위해 많은 분들이 몸을 그렇게 움직였던 이유를 알것도 같은데요. 한가지 움직임에 집중하면서 내 안의 나쁜 마음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더 커지기 전에 털어내는 습관을 만들어갔던거 아닐까 합니다. 소림사 비기를 배우기 위해 무술 1장부터 시작하는게 아니라 물을 잘 채우고 흘리지 않는 일부터, 즉 내가 하는 일 자체에 집중하는 것부터 시작되는 것처럼 말이죠. 털어낸다는 것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포기와는 전혀 다른 개념인데요. 나를 괴롭힐 수 있는 사실들이란 생각 자체에서 멀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나에게 중요한 건 뭔가를 인지함으로서요.

 

'자'란 남이 행복 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며, '비심'이란 남의 슬픔과 아픔을 제대로 살피려는 마음가짐입니다. 단어 자체는 약간 불교적일 수 있지만 이 방향성을 잃어버린다면 이 세상 모두 종말을 맞이할지도 모릅니다. -209

마음 사용설명서를 익히고 지내다보면 지금 이 날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다는 말이 참 좋더라구요. 이렇게 단순하지만 깊은 이야기를 따라가며 잊고있던 '마음'에 대해서, 내가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들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좋다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