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비움 공부 - 비움을 알아간다는 것
조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은 공자나 장자, 심지어는 세종대왕님도 이 시대를 살면서 마음의 평정을 유지한다는 건 힘든 일이 아닐까란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정보가 너무 많아 비우기가 더 힘들어졌기 때문인데요. 그래도 그 분들이야 워낙 다른고로 채우기 쉬운만큼 비우기도 쉽다 라고 방법을 알려주지 않을까, 그 중에서도 비움을 주장했다는 장자는 어떻게 강조했을까 궁금해지게 되더라구요.

 

어쩌면 장자의 철학은 크게 "내가 꿈속에서 나비가 된 것일까. 아니면 나비 꿈속에 내가 있었던 것일까." 이 큰 줄기를 따라가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비가 꾸는 인간의 꿈이 사실이라면 현실에 눈쌀 찌푸릴 일도 안달복달할 일도 없을테니까요. 이제 깨기만 하면 다 끝날 일이니 말이죠. 진짜는 이 말을 하고 싶었던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인간이 꾸는 나비의 꿈이 맞대도 반대일수도 있다 여긴다면 한숨쉴 일은 없어질수 있으니 다 마음먹기라구요.

 

이렇게 생각하면 다 알거같지만 곳곳에 놓인 장자의 말은 생각과 다르기도 합니다. "한 곳으로 치우치지 말라"에서 보면 착한 일을 행하여 명성을 가까이 하지 말고 악한 것을 행하여 형벌을 가까이 하지도 말라고 하고 있거든요. 악이야 그렇지만 왜 선을 행하지 말라 했을까 싶은데 장자는 그것이 타고난 수명을 온전히 보존할 수 있는 길이라 여겼다고 하네요. 플라톤 역시 어디에서 그치는지를 알아 거기서 머무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최고의 지혜이며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마땅한 정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것은 악덕이며 그 중간을 찾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다는데 그들의 결론이 모두 일치한다 싶으니 신중한 행동의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중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거나 가볍고 쉽게 생각하라는 것이 아니라 무겁게 언제까지 꼭 가져야,꼭 해야할 것으로 여기는 일을 줄여야 한다는 말 같은데요. 더군다나 쓸데없는 것은 없다는 장자의 가르침은 중요한 것, 쓸데있는 , 똘똘한에 골몰하는 우리의 좁아진 관심을 좀 넓히라는 가르침이기도 하다 싶어집니다. 

 

"왼손으로 집으면 오른손이 잘리고 오른손으로 집으면 왼손이 잘립니다. 이 문서를 취하는 자는 천하를 차지한다고 적혀 있으면 임금께서는 이 문서를 어찌하시겠습니까"-175

어찌하시겠습니까... 자신보다 귀하지 않은 것은 없다..편에 나오는 이야기인데요. 정답은 사실 다들 알고 있는 거지만 미련을 버릴수가 없을겁니다. 이렇게 다 알면서 뭔가 비법,방도를 찾는게 비우지 못함이구나 싶으니 장자의 비움이란, 나를 우선으로 좌우에 휘둘리지 않아야 내가 바로 보인다는것이고 그래야 내가 놓을거, 잡을것을 분명히 할수 있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볼수 있을것을 말하는걸까 하게 되는데요. 마음이 흔들릴때 장자의 담백함을 만나게되면 나도 담백해지지않을까, 배우지 말라는 그의 가르침에 배우게 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