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피스트
헬레네 플루드 지음, 강선재 옮김 / 푸른숲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홀로서기라는 말은 어찌나 빛나보이는지... 대부분 못하는 일이니 그럴것이다. "내가 잘나서 이런 일을 했어","나 지금 힘들어"라고 말을 전할 이가 반드시 우리는 필요하니 말이다. 물론 그럴때 필요한 건 내가 겸손하게 아무렇지 않은 일인양 말해도 "대단해"를 연발해주고 내가 못나보일까하는 걱정없이 울거나 뒷담화를 해도 변함없이 안아줄 수 있는 든든한 벗일것이다. 인생에 몇 안되는 벗, 그런 이를 가족으로 가지고 있는 이라면 너무 든든할것이다.

 

심리치료사로 사랑하는 남편 시구르와 둘이 집 재건축을 해가는 사라는 슬슬 지쳐가는 중이다. 몇 안되는 청소년 환자들과 심리상담을 해가는 것도, 시구르에게 이런 저런 눈치를 봐야하는 자신의 입장도 애매하기때문이다. 심리로 직업을 삼은 이라면 남의 마음 조정도 자신의 마음 조정도 좀 쉽지않을까 했는데 일과 실생활은 다르구나 싶다.

 

그런 그녀에게 시구르는 친구들과의 시간을 보내겠다며 아침일찍 나갔는데 몇 가지 그의 말과 안맞는 걸 발견하게 된다. 사소한 일이라 넘기려하는데 친구들과 만나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전화를 한 시구르가 도착하지 않았다는 그의 친구들 전화를 오후 늦게 받게 된다. 남편의 뻔뻔한 거짓말??? 평상시 그의 행동을 분석해보지만 이상한 점을 찾을 수 없는 사라는 혼란에 빠지게 되는데 며칠후 경찰은 남편이 살해됐다는 연락을 해오게 된다. 하지만 뭔가 미묘하게 달리진 집안은 그나 그를 잘 아는 누군가가 그녀 주변에 있다는 걸 보여주며 그녀를 불안에 떨게 한다.

 

어쩌면 보이는 사건이다. 거짓말을 하는 남편, 불안한 부부관계, 그리고 사건. 범인은 누구나 생각하는 바로 그... 하지만 그 누구에게서도 의심스러운 점은 발견할 수 없고 사건은 미궁에 빠지게 된다.

 

심리학자인 저자 헬레네 플루드는 마치 자신이 봤던 사건일까 싶게 침착하게 사건을 기술해가고 있다. 도와주는 사람도, 도움을 받고싶은 사람도 자신만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다른것이지 명확히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눌 수 있는건 아니라는 걸 보여주면서 말이다.

 

"그래도 나는 어둠 속에 앉아서 잠시 세상을 지켜보면 배울 수 있는게 많다고 생각해. 그런 행위는 꼭 필요한 것 같구나. 나중에 그 어둠에서 빠져 나올 거라고,거기에 갇히지 않을 거라고 확신하기만 하면 된단다."-229

심리분석을 볼수 있다. 사라가 자신뿐 아니라 주변 인물들을 분석해가기때문이다.객관적으로 보면서 그들 각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투영하고 극도로 불안함을 보이는 사라는 변한 자신의 기억과 그것에 대한 진실을 찾아가며 자신이 경찰도 찾지 못한 답을 찾았다고 생각하게 된다. 자신을 사랑하는 인생의 든든한 벗이 진범일지 모른다 생각되면 나 역시 그녀처럼 질문을 하지 못할거같은데.. 그렇담 그녀가 생각한 것이 맞는것일까..결코 던지지 못해 미궁에 빠지게 될 하나의 질문과 답. 극적인 사건은 없음에도   사랑이란 눈으로 보는것과는 완전 다를 수 있다는 걸 보여주면서 어딘가 조이는 듯한 느낌을  주는 마지막 결말까지... 그래서 심리 스릴러인가보다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