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사피엔스를 위한 뇌과학 - 인간은 어떻게 미지의 세상을 탐색하고 방랑하는가
마이클 본드 지음, 홍경탁 옮김 / 어크로스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처음부터 길잡이였다. 길을 찾고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이 말 그대로 유전자에 각인되어 있었다."-25

처음부터 길잡이였는데 왜 이리 길을 못찾는건지가 늘 고민이였습니다. GPS라는 훌륭한 기계가 도움을 주기 전까지는요. 그것도 내가 가야하는 목적지와 멀어짐에도 어디로 방향을 돌려야할지를 몰라 늘 제자리에서 뱅뱅 돌곤했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  궁금했는데 이번에 알게 됩니다.

 

"개를 산책시키거나 처음 가보는 나라를 여행할 때 나는 의도적으로 길을 잃어. 그러지 않으면 어떻게 멋진 장소를 발견할 수 있겠니?"-193

나에게 이런 낭만이 없어졌기때문일지도 모릅니다. 개를 산책시킬때, 여행할때 명확히 가야할 곳을 알고 가야하니까요. 의도치않은 낯선 곳을 간다는 건 당황하는 일이될거고 그건 생각지 못한 일을 만날지 모른다는 불안과 같은 말이라 무의식적으로 피했던 건 아닐까 싶은데요. 그건 또 간단한 일이 아니고 우리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봐야하는 일이라고 하네요. 더 오래전에는 엄마가 "밥 먹어라" 할 때까지 뛰어노는 시간이 있었다는거죠. 그동안 아이들은 산넘고 물건너 생각지도 못한 곳에 가 있기도 했구요. 그러다 어느새 사회가 발전하면서 차나 무서운 사람으로부터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영역을 점점 좁히게 되었는데 그러다보니 "탐험"을 하면서 만들어가야 할 공간지각력이라던지 그것에 관한 해마 영역의 넓힘이 이전보다 부족했을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음,,, 그런 것의 희생양이 저라면 곱게 컸다는 뜻이니 그냥 받아들이는게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물론 이게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은 아니라니 또 그렇습니다. 길을 찾는다는 능력은 머리 한 부분에서만 하는 일이 아니거든요. 위치세포,머리방향세포,격자세포,경계세포가 하는 일들에 대해,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길을 찾아가는지의 여러 방법에 대한 설명을 보면서 인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길을 찾아간다는 걸 알게 되고 다행이다 하게 됩니다. 좀 느리고 반복적일지라도 내가 가야할 길을 스스로 찾아갔던 시절이 있다는 게 현재의 나에게 행운인게 그렇지 않았더라면 길을 찾아가게하는 나의 뇌 영역이 지금보다 훨 쪼그라들어 있었을지도 모르니 말이죠. 그 부분에 관한  알츠하이머 환자들과의 상관 관계를 보면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인데요. 택시운전을 오래한 분들의 해마영역이 다른 이들보다 넓었다가 일을 그만둔 후에는 작아진다는 걸 보면 설명처럼 GPS를 잠깐이라도 꺼두고 가끔은 물어물어 가는 방법도 다시해야겠다 싶어집니다.

 

"절대 길을 잃지 않는 것은 사는 것이 아니고, 길을 잃는 방법을 알지 못하면 파멸의 길로 가게 된다. 그리고 미지의 세계 중간 어딘가에 발견의 삶이 있다."-322

공간을 기억하는 남자와 장소나 상황을 기억하는 여자가 아니라 어떻게 키워졌는지에 따라라던지, 우리가 도시와 시골을 어떻게 바라보고 기억하는지, 왜 길을 잃기 싫어하는지등을 보면서 눈을 감고도 걸어갈 수 있겠다고 생각한 곳에서조차 왜 나는 반복적으로 그 길을 벗어나지 않았는지를 생각해 볼 시간을 갖게 되는데요. 길찾는 능력이란 예전에는 식량위치를 알아내고 그것을 얻기위해 다른 이들과 협력을 하고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그렇게 타인과의 교류도 향상시키게 해 주는 생존의 필수요건이라는데요. 지금도 그 능력은 사교성, 즉 사회성의 진화를 뜻한다니 역시나 필수요건이다 싶습니다.

 

"길과 나", 길을 찾는 능력이 뭘까에서 지금의 나는 왜 가끔 아무 준비없이 모르는 길을 선택해야하지 않는가로 연결되는데요. 아이가 있다면 더욱 더, 낯선 곳에서 길을 찾는 전략도 배웠으니 아이를 앞세워 이야기 나누며 준비하지않는 길에서 집으로 오는 길을 즐겨봐야겠다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