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30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2월
평점 :
수사학이란 "사상이나 감정 따위를 효과적이고 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문장과 언어의 사용법을 연구하는 학문" 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수사"란 말이나 문장을 좀 더 이쁘게 다듬는 것을 뜻하는데 이것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설득의 기술"이라 보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소피스트를 떠올리면 대중과의 연설, 대화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아리스토텔레스, 그가 이 책에서 말하듯 설득의 기술을 이미 이렇게나 알고 있었다면 꽤나 능력있는 삶을 살지 않았을까 해보게 됩니다. 대중을 사로잡을 수 있다면 그가 무얼하든 손해는 보지 않았을테니요. 더군다나 감정에 호소하지 않고 개연성 증명을 설득에서 가장 큰 강점으로 삼았다니 논리에서만큼은 최고였지 않았을까, 그러니 결코 변하지 않는 인기를 누렸을거같은데요. 단, 이유있는(?) 대중의 변덕도 잘 아는 그였기에 그들의 판단을 사로잡는 여러 기술을 보여줍니다.
신들에게서 승리의 점괘를 받지못해 불안해하는 군인들에게 "최고의 점괘는 조국을 위해 싸우는 것" 이라 한다던가 아군의 수가 열세라면 "전쟁의 신은 공평"하다던가 잘못도 없는 적군의 아이들을 죽여야한다면 "아버지를 죽이고 그 자녀들을 살려두는 것은 어리석은 ..." 이렇게 말을 하면 된다는데요.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라는 말처럼 말이 얼마나 무서운 건지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말의 나열뿐 아니라 문체, 어조. 예시등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따라 반응이 달라진다는 것도 보여주는데요. 글이나 말로 설득하는 이에게 깜박하면 말려든다는 건 예나 지금이나 같다는 걸 알 수 있기에 쓴웃음 짓게 되는 대목이 여럿 보입니다.
"데모스테네스는 대중을 배 멀미를 하는 사람에 비유했고(대중이 어떤 정책에 찬성표를 던져 그 정책이 시행되면, 대중은 자신이 선택한 정책으로 멀미하며 고통을 받기에(?)), 데모크라테스는 대중 연설가를 아기가 먹을 젖을 자기가 빼앗아 먹고는 아이에게는 자신의 침을 발라주는 보모에 비유했..."(정치가들에 대한 기존의 비유를 뒤집어 표현하면서 위선과 착복을 일삼는 자들이라고)..
연설을 하는 이와 듣는 이,하는 이는 어떻게 말해야 하고 듣는 이는 어떤 점을 보고 물어봐야하는지를 알게 되는데요. 2400년이란 오랜 기간동안 그의 수사학이 많은 이에게 영향을 미친 건 다 이유가 있음을 알게 됩니다. 그가 예시로 들어준 인물들을 다 알지 못해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어떻게 말하는 것이 상대에게 영향을 주는지 알려주는 부분이 아직도 통하겠다 싶어 재미있게 보게 되는데요. 말하는 이에 따라 다르게 들려질 수 있게 하는 "수사학", 그 신비로움에 빠진다면 내일의 설득이 달라지게 될까요?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