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관절 구조 교과서 - 아픈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뼈·관절 의학 도감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마쓰무라 다카히로 지음, 장은정 옮김, 다케우치 슈지 외 감수 / 보누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들어 물리치료 받을 일이 종종 생기는데요. 가보면 내가 아프다 한 그 부위뿐 아니고 다른 곳을 함께 치료해주실때가 있더라구요. 넓은 부위 치료받으면이야 좋지만 왜 그런건지 궁금해하니 설명해주시길, 아픈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원인을 따져 연결되어 있는 부분을 함께 치료하면 치료 효과가 훨씬 좋다는 겁니다. 그런 설명을 들으니 몸 안 구조가 또 궁금해지게 되더라구요.

 

아픈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뼈, 관절 의학 도감이라는 말처럼 "뼈,관절 구조 교과서"는 사람의 몸 안이 어떤 모습인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책은 해부학중에서도 주로 뼈대를 소개하고 있는데요. 겉으로 봐서는 다 다른 사람인데, 뼈가 약 200개라던지, 그 몸을 보호하기 위한 뼈와 관절의 움직임은 같을거라 생각하니 인체(물론 동물의 몸도) 는 참 신비로운 거구나 하게 됩니다. .

 

인체에는 약 200개의 뼈가 있고 서로 연결되어 뼈대를 만든다고 하는데요. 뼈대는 연골, 인대와 함께 뼈대 계통을 만든다고 합니다. 이 뼈대의 역할은 인체를 지탱하고 뼈대를 구성해 몸의 토대를 만드는 것과 장기 보호하기, 수동적 운동기관으로서 능동적 운동기관인 근육과 함께 운동계통 형성하기, 칼슘이온 저장하기, 적색골수가 있어 조혈작용하기, 이렇게 5가지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요. 이제껏은 남들처럼 길지못한 뼈대가 못마땅했었는데 한장씩 그림을 넘겨가며 들여다보니 뼈대 하나마다 붙어있는 관절이나 인대의 움직임이 얼마나 복합적이고 복잡한지를 알게 되는데요. 길이나 모양에 상관없이 잘 동작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라는 걸 알게 됩니다.

 

책을 보면서 각자 아픈 곳도 찾아보지 않을까 하는데요. 만성이라 불릴만큼 아픈 등과 허리쪽을 보면서 얼마나 연약하게 생겼는지도 알게되니 더 조심해야겠다 하게 됩니다. 이렇게 각 부분 뼈사진과 자세한 설명외에도 부록에서 뼈로 본 근육의 몸쪽, 먼쪽 부착 부위와 특징, 관절 운동범위의 표시 및 측정법, 신, 구용어 대조표 (두개골이 머리뼈로, 슬개골이 무릎뼈로 등), 뼈 관절 인체구조의 요약판 그림 정리해 놓은 걸 볼 수 있는데요.

 

평소 아픈 부위가 있었더라면 자세히 보면서 내가 어느 부분이 약해져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시간도 되고, 보통 3~5개의 작은 꼬리척추뼈로 구성되어있는 꼬리뼈가 어린아이때는 서로 분리되어있지만 성인이 되면 각 꼬리뼈사이 및 엉치뼈와 결합한다는 등의 지식도 생기게 될텐데요. 아무래도 전문인이 아니라 질환이나 증상의 본질까지 파악하기는 힘들더라도 찾아보면서 연결된 부위가 어딘지, 그 곳의 이름은 뭐라하고 어떤 작용을 하고 있는지의 궁금증을 풀게 될텐데요. 그럴때마다 어딘가 연약해보이는 뼈의 구성들이 아프지않도록, 노화의 흐름을 늦출수 있도록 몸을 아끼며 적당하게 다뤄야겠다는 걸 알게 하지않을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