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어떻게 살든 나는 행복해지기로 했다
폴 마이어 지음, 최종옥 옮김 / 책이있는마을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하다는 느낌을 가지며 산다는 게 얼마나 소중한 일인지는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느낌적인(?) 느낌을 유지한다는 게 힘든 일이라는 것도 알기에 "행복"하다 자신있게 말할수 있는 이들을 부러워하게 되는데요. 행복하다는 이들을 보면 어지간한 일로 그들 내면이 흔들리지 않을거라는 걸 믿고있다는 것도 보게 됩니다. 그것 또한 부러운 일인데요. 이제는 행복할 "피터"에게서 그 모습을 보게 됩니다.

 

저자 폴 J.마이어는 반세기전에 우연히 "피터"의 이야기가 들어있는 소책자를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읽는 걸 중간에 멈출 수 없었고, 언젠가는 많은 이들에게 이 이야기를 알리겠다는 꿈을 갖게 됐다고 하는데요. 그가 반한 피터의 이야기는 현대판 동화처럼 절망에 이른 한 사람이 어떻게 남들이 부러워 할 인생을 가지게 되었는가에 관한 것입니다. 있는지도 몰랐던 내 안의 힘을 꺼내 하루 하루를 살던 인생이 앞으로의 미래를 꿈꾸게 되었다는 건 우리 모두를 같이 행복하게 만들게 되는데요. 용기를 낸다면 그럴 수 있을까 하는 희망때문일겁니다.

 

 

자기 자신에게 호기심을 가져라-15

 

좋은 환경을 가진 사람이 더 좋은 기회를 만들어낸다는 생각을 가진 '퍼킨스'와 밑바닥부터 차근히 올라오며 자신안의 "그 무엇"을 꺼낸 적이 있는 사람이 더 많은 기회를 만들어낸다는 생각을 가진 '랜돌프' 가 길을 가다 배고픔을 호소하는 '피터'를 만나게 됩니다. 지금 당장 먹을 걸 원하는 피터에게 랜돌프는 중요한 건 먹을 게 아니라 당신안에 있는 그것을 깨우는 거라는 알쏭달쏭한 말을 하는데요. 다른 무엇이 아니라 당신이면 충분하다는 말이 오래도록 피터에게 남게 되고 바비라는 아이를 도와주다 남들에게는 분명히 행운으로 보일 시작을 하게 됩니다. 그런 후 해결되지 않는 절망만 가득하던 피터는 놀라운 능력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러면서 달라지는 그를 보게 됩니다. 자신을 믿는 자의 자신감이랄까요. 조사를 했다지만 남들이 의심하는 자신의 결정을 밀고나가는 피터의 모습은 고민의 결론을 스스로 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면서 나를 믿는 혼자의 힘이 결코 약하지 않다는 걸 보여줍니다. 그렇게 내 안에도 뭐가 있을까 라는 궁금증을 가지게 하는데요.

 

"행운이였다면 여기까지는 오지 못했을 겁니다. 행운은 왔다가 곧 가버리는 것이니까요."-165

그렇게 피터는 자신 안의 그 무엇을 하나씩 꺼내게 됩니다. 단순 생각하듯 행운이라는 간단한 말이 아닌 무엇이 자신을 지금의 자리로 이끌었는지를 피터는 알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내적 힘이라 부를 수 있다는 그것은 혼자였던 피터가 가지고 있는 게 차가운 계산력이나 이성만이 아니라는 걸 분명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에겐 배려를 해주고 그가 배려를 했던 이들이 함께 했으니까요.

 

간단한 이야기지만 생각할 거리를 많이 주는데요. 자신의 부족한 면을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피터의 모습에서 볼 게 달라지지 않을까 싶네요. 나에게는 있는 그대로의 나만으로도 괜찮다를 넘어 충분하다는 데 눈이 가게 되는데요. 나에 대한 용기가 필요할 때 읽는다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