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를 바탕으로
델핀 드 비강 지음, 홍은주 옮김 / 비채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1. 일단 여러 면에서 신경숙 씨의 '외딴 방' 이 떠올랐다고 해두고 싶다.

   사실 외딴 방보다는 스티븐 킹의 미저리가 더 닮은 꼴이라

   일컬어지는 모양이지만 내가 미저리를 보지 않은 관계로

   그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


2. 이것 역시 개인적인 경향이라면 경향일 수 있고

   요즘의 세태라면 세태랄 수 있겠다만

   언제부턴가 실화라는 말을 점점 믿지 않게 되었다.

   그 계기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나날이 영화보다 충격의 강도가 세어지는 뉴스 속보가

   한 몫 한 것만은 틀림없는 것 같다.

   특히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에는 더욱 흥미가 일지 않는다.

   그래놓고 최근 읽는 것은 사례를 통한 심리서적들이니

   앞뒤가 안 맞는 말인 듯 하지만

   어쨌든 실화 라는 말이 예전보다 울림을 주지 못 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3. 현실감각의 부재라도 해도 좋을 것이고, 인터넷의 영향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시간이 지나고 관계가 축소될수록

   점점 많은 말들을 인터넷에 집어던지기 시작했다.

   표현이 좀 뭐하지만 인터넷에 무언가를 올릴 때면 딱 그 기분이다.

   집어던지는 기분.

   운 좋게 누군가에게 맞는다면 접점이 생기겠지만

   대부분 거치는 것 없이 날아가 수면에 떨어지고 마는 것.

   무언가를 창작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왔다.


4. 하여 딱히 실화를 바탕으로 할 생각은 하지 않았더랬다.

   다만 내가 모르는 이야기를 아는 것마냥

   쓰려 할 때의 버석거림 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그 버석거림을 타개하기 위해 내 이야기를 써야 하는가?

   쓴다면 얼마나? 어디까지?

   아니 그 전에 내 이야기를 쓴다면 과연 몇 편의 이야기나 쓸 수 있는데?

   그리고 그것은 실화인가. 기억에 의해 날조된 현실인가.

   실화의 범위는 대체 어디부터 어디까지인가.


5. 영상과 이미지가 점점 주요문화로 자리하게 되면서

   오히려 문학이 제자리를 찾을수도 있을 거란

    L의 의견에는 일부 동의하는 바이나

   실화에 집착하는 그 태도에는 역시 의문이 생긴다.

   실화라고 한다면 결국 어느 한 쪽의 실화라는 건데

   과연 그게 실화로서의 기능을 하기는 하는 건지.

   구구절절한 자기변명은 아닌 건지.


6. 어쨌든 난 무언가 이야기를 만들고 그리고 있다. 피드백은 없다.

   지금까지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고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아직 그 수준은 아닌 것 같다.

   다만 기이한 것은 해가 갈수록 이야기는 길어지고 생각해야 할 것도 많아지면서

   무엇보다 속도도 느려지고 있다. 그리고 점점 현실로 돌아오고 있다.

   나랑 아주 먼 것의 이야기에서 시작하더니 점점 내 지척으로 오고 있다.

   해서 과연 이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파기 시작한다면 난 괜찮을지 생각 중이다.

   물론 이 핑계 대고 안 하고 있는 건지도 모르지.


7.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그녀는 L의 이야기를 책으로 써 냈고

    그런 걸 보면 역시 크리에이터라는 직업은 어쩌면 저주받은 직업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