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을 빼앗긴 국화 – 형수님께, 1981.10.17>

P225 국화장의 비닐 온실에 밤새 불을 켜놓기에 아마 계사에 다른 전등불이나 한 가지려니만 여겼더니만 이것은 꽃을 재촉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꽃을 누르기 위한 것임을 알았습니다. 국하는 장야성 長夜性 식물이기 때문에 밤이 길어야 꽃이 피는 법인데 시장의 꽃값이 비쌀때 내기 위하여 개화 開花를 억제해 둔다는 것입니다.

<생각의 껍질 – 어머님께, 1981.10.21>

P226 문자를 구하는 지혜가 올바른 것이 못됨은, 學止於行 모든 배움은 행위 속에서 자기를 실현함으로써 비로소 산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교와 고, 巧와 固 – 아버님께, 1981.11.14>
(공교로울 교, 굳을 고)

P227 글씨에 변화를 주려는 강한 충동 때문에 붓을 잡기가 두려워집니다. 무리하게 변화를 시도하면 자칫 교 巧로 흘러 아류가 되기 쉽고, 반대로 방만한 반복은 자칫 고 固가 되어 답보하기 쉽다고 생각합니다.

교 巧는 그 속에 인생이 담기지 않은 껍데기이며, 고 固는 제가 저를 기준 삼는 아집에 불과한 것이고 보면 ‘윤집궐중’ 역시 그 중 中을 잡음이 요체라 하겠습니다만, 서체란 어느덧 그 사람은 성정이나 사상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결국은 그 ‘사람’과 함께 변화, 발전해감이 틀림없음을 알겠습니다.

"우차 牛車가 나아가지 않으면 소를 때리겠느냐 바퀴를 때리겠느냐?"는 우문이 때로는 우리를 깨우치는 귀중한 물음이 되듯이, 본말을 전도하고 선후를 그르치는 것은 거개가 졸속한 육심에 연유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윤집궐중 允執厥中 ( 진실로 윤, 잡을 집, 그 궐, 가운데 중)

堯(요) 임금이 舜(순) 임금에게 禪讓(선양)하며 "하늘의 운수가 그대에게 있으니 진실로 그 中(중: 지나침도 없고 모자라지도 않는 핵심)을 잡아라. 천하가 困窮(곤궁)해지면 하늘이 임금에게 내리시는 녹이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할아버님의 추억 – 아버님께, 1981.8..27>

P221 담담하고 유연한 자세는 어려움을 건너는 높은 지혜라 생각됩니다.

<글씨 속에 들어있는 인생 – 부모님께, 1981.9.27>

P223 글씨도 그 속에 인생이 들어있는지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어떤때는 글씨의 어려움을 알기 위해서 글씨를 쓰고 있다는 생각까지 듭니다.

<창백한 손 – 계수님께, 1981.10.6>

P224 몸 가까이 있는 잡다한 현실을 그 내적 연관에 따라 올바로 이론화해내는 역량은 역시 책 속에서는 적은 분량 밖에 얻을 수 없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독서가 남의 사고를 반복하는 낭비일 뿐이라는 극언을 수긍할 수야 없지만, 대신 책과 책을 쓰는 모든 ‘창백한 손"들의 한계와 파당성은 수시로 상기되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묵과 요설 – 계수님께, 1980 세모에>

P203 숲속에 흔히 짐승들이 사람을 피해 숨어 살듯이 장광설은 부끄러운 자신을 숨기는 은신처이기도 합니다.

침묵과 요설은 정반대의 외모를 하고 있으면서도 똑같이 그 속의 우리를 한없이 피곤하게 하는 소외의 문화입니다.

<나막신에 우산 한 자루 – 계수님께, 1980. 4.27>

P211 있으면 없는 것보다 편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완물상지(玩物喪志, 玩 희롱할 완, 喪 죽을 상), 가지면 가진 것에 뜻을 앗기며, 물건은 방만 차지함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마음속에도 자리를 틀고 앉아 창의를 잠식하기도 합니다.

이기(利器)를 생산한다기 보다 ‘필요’ 그 자체를 무한정 생산해내고 현실을 살면서 오연히 자기를 다스려 나가기도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릇은 그 속이 빔 虛으로써 쓰임이 되고 넉넉함은 빈 몸에 고이는 이치를 배워 스스로를 당당히 간수하지 않는 한, 척박한 땅에서 키우는 모든 뜻이 껍데기만 남을 뿐임이 확실합니다.

* 오연히 (傲然, 傲 거만할 오, 然 그럴 연 - 태도가 거만하거나 그렇게 보일 정도로 담담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방의 마음 – 부모님께, 1980.11.25>

P198 ‘시’는 고인 (古人) 들의 절절한 사연이 긴세월, 숱한 인정에 의하여 공감되고 다듬어지고 그리하여 키워진 노래라 생각됩니다.

그러기에 ‘이야기에는 거짓이 있어도 노래에는 거짓이 없다’고 하였던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겨울은 역시 겨울 – 부모님께, - 1980, 1.10>

P172 부모지년 불가부지 일즉회 일즉구 父母之年 不可不知 一則喜 一則懼 (懼 두려워할 구)

부모님의 연세는 한편으로 기쁨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두려움입니다.

<서도 – 부모님께, 1980.2.2>

P174 천하의 선비로서도 부족하여 고인을 읽는다는 ‘맹자’의 일절이 상기됩니다. 항상 생활 속에서 먼저 깨닫기도 하고 독서가 결코 과욕이 되지 않도록 부단히 절제하고 있습니다.

<꿈마저 징역살이 – 계수님께, 1980.2.27>

P176겨울밤 단 한명의 거지가 떨고 있다고 할지라도 우리에겐 행복한 밤잠의 권리는 없다던 친구의 글귀를 생각합니다. 우리의 불행이란 그 양의 대부분이 가까운 사람들의 아픔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라 믿습니다.

<메리골드 - 형수님께, 1980.6.19>

P182 작업장 창문턱에 ‘메리골드’라는 꽃 한 포기를 올려놓았습니다. 메마른 땅에 살고 잇는 제 족속들과는 달리 엄청난 가뭄의 세월을 알지 못한채, 주전자의 물을 앉아서 받아마시는 이 작은 꽃나무는 역시 땅을 잃은 연약함을 숨길 수 없습니다.

창문턱에서 내려와 쓰레기통 옆의 잊혀진 자리에서 꽃나무는 저 혼자의 힘으로 힘차게 팔을 뻗고 일어서 있었습니다. 단단히 주먹 쥔 봉오리가 그 속에 빛나는 꽃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저녁에 등불을 켜는 것은 – 형수님께, 1980,7.7>

P183 형님께서도 어려움이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저녁에 등불을 켜는 것은 어려운 때 더욱 지혜로워야 한다는 뜻이라 믿습니다.

<바다로 열린 시냇물처럼 – 부모님께, 1980,7.28>
P184각자가 저마다의 삶의 터전에 깊숙이 발목 박고 서서 그
‘곳’에 고유한 주관을 더욱 강화해가는 노력이야말로 객관의 지평을 열어주는 것임을 의심치 않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그 ‘곳’이, 바다로 열린 시냇물처럼, 전체와 튼튼히 연대되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사고의 동굴을 벗어나는 길은 그 삶의 터전을 선택하는 문제로 환원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맹자’의 일절이 상기됩니다.
"활만드는 사람은 사람이 상하지 않을까 두려워하고, 방패를 만드는 사람은 사람이 상할까 두려워한다."

<떠남과 보냄 – 계수님께, 1980.11.10>

P194 세상의 슬픔에 자기의 슬픔 하나를 더 보태기 보다는 자기의 슬픔을 타인들의 수 많은 비참함의 한 조각으로 생각하는 겸허함을 배우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