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강 격차 - 평등한 사회에서는 가난해도 병들지 않는다
마이클 마멋 지음, 김승진 옮김 / 동녘 / 2017년 9월
평점 :
책장에 꽂힌지 역시(흑ㅠ) 한참 된 책인데 이 시기에 끄집어내어 읽게 된 계기는, 좀 뜬금없는 것 같지만,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이다. 정부가 공공의료 확충 방안의 하나로 제시한 의과대학생 정원 확대 정책에 대한 반발로 의사들이 파업을 하고 의대생들이 의사국가고시 응시를 포기하는 등 정부와 의사 집단 간의 대치가 극에 달한 어느 날 뉴스에서 이분이, 지금은 정확한 내용은 기억나지 않지만 아무튼, 정부의 입장을 브리핑하는 것을 보다가 문득 저분은 전문 분야가 뭐길래 저기서 저런 얘기를 하나 싶어 검색했다가 기사 하나를 찾았다 (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595&replyAll=&reply_sc_order_by=I ). 기사에 소개된 바에 의하면, ‘부산의대 예방의학과 교수(그러니까 이분도 의사)로 부산지역 공공의료 기반 확충을 위해 노력해온 인물’로, 2018년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공모로 복지부로 입성하면서 전문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하셨다는 말씀은 ˝지난 10년간 정체돼 흔들리는 공공의료의 기반을 탄탄히 다지고 저변을 확대하는 일을 가장 하고 싶다.˝ 연구실에 있다가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직접 현실로 뛰어든 분이 아닌가! 내가 생각하는 지식인의 이상적인 모습이었다! 나는 의대생 정원 확대에는 반대하면(했으면..?)서도 공공의료 강화라는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의가 없다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이분을 보니 내가 공공의료란 걸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그러다 책장에 이 책이 있다는 걸 떠올렸고, 그리고 이렇게(어떻게?!) 되었다...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으로 쓰인 글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상과 비전을 제시하고 거기에 도달하는 방법을 실제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적절한 재치를 섞어 정연한 논리로 풀어 보여준다(<팩트풀니스>의 저자와도 아주 죽이 잘 맞을 것 같다). 그래서 펼쳐 놓은 다른 책들보다 먼저 한번에 읽을 수 있었다. 그렇다고 읽는 것이 마냥 쉬운 건 아니었다. 이 책은 무엇보다 ‘행동’을 독려하는 책이다. 행동하려면 먼저 생각에서 냉소와 무기력(이라고 쓰고 게으름이라고 읽는다)을 솎고 걷어내야 하는데 이것이야말로 가장 골치아픈, 하기 어려운, (정직하게 말하면) 하기 싫은(=귀찮은) 일이기 때문이다. 의대생 때 정신과 실습 중 가난과 남편의 폭력으로 우울증을 앓게 된 환자에게 빨간 약은 그만 먹고 파란 약을 먹어보자, 라는 말밖에 해줄 것이 없다고 하는 선배 의사를 보며 ‘우리’는 누구이며 그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을 고민하기 시작했다는 저자. 나로 말하자면, 읽는 처음부터 끝까지 반성이야 열심히 했지만 여전히 내가 뭘 해야할지 할 수나 있을지 모르겠다.
이 책의 핵심 주제는 간단하다(이건 간단한 문장으로 줄인다고 무슨 오해가 생기는 건 아니다!). 돈, 권력, 자원의 불평등의 경사면은 건강을 해친다는 것. 경사면의 아랫쪽은 계속 깎여나갈 것이고 그러다 보면 경사면의 기울기는 더 가팔라질 것이고 결국 맨꼭대기에 있었던 것도 허물어질 수밖에 없다. 병을 치료하기 전에 환경을 개선해서 병에 걸리지 않게 하려면 경사면이 더 깎이지 않도록, 나아가서 기울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의 삶의 모든 단계- 영유아기, 유년기, 청소년기, 청년, 장년, 노년기-에서 효과적이면서도 아주 어렵지는 않은 실행 가능한 대책들이 있고, 사회적으로 봐도 마을, 지역 공동체, 국가, 그리고 국제사회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 기술적인 면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어떤 질병이든 치료법이 있기만 하다면 우리나라에서도 받을 수 있다(물론 비용 문제가 발생하겠지만). 그러나 제도나 정책 측면에서 보면 너무나 흠이(흠만?) 많다. 물론 미국처럼 의료에 엄청난 돈을 쏟아부으면서도 기대 수명은 낮은 지경은 아니겠지만. 나는 정부의 생색내기(건강보험료를 올리지 않기 위해 의료 수가를 낮게 유지)가 공급자와 수요자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급자는 낮은 공급가 문제로, 수요자는 좁은 보장 범위 문제로) 열받아 싸우게 만드는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미 글이 너무 길어져 나조차 지겨워지고(!) 있으니 그만 멈추겠다.
아무튼 이 책이 의대생들의 필독서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 때 읽지 않으면, 일단 환자들을 대하게 되면, 의사는 ‘질병’ 자체에 쉽게 압도되고 매몰되는 경향이 있다(경험에 비추어 보면).
다음은 사족:
1. 저자가 말하는 건강한 생활습관 - 가공육을 적게 먹고, 인스턴트 음식과 설탕이 과다하게 들어간 음료수를 피하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고, 금연하고, 술을 줄이고, 운동을 하는 등등- 중 대부분을 나는 싫어한다! 그래도 우리나라에선 나쁜 결과가 올 것을 알고 감수하기로 하면서 그 반대를 선택할 수 있지만 가난한 나라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것이 문제겠지.
2.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제외한 아시아의 이야기는 거의 앖고 제시된 많은 통계자료(주로 OECD 국가의 자료)에도 일본만 간혹 보일 뿐 우리나라 이야기는 거의 없는데 딱 하나 우리나라 자료가 있다. 엄청나게 높은 노인 빈곤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