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사용법 -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작 ㅣ 신나는 책읽기 33
김성진 지음, 김중석 그림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엄마 사용법>은 2012년,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저학년 대상 수상작이다. 기대를 저버리진 않았지만, 엄마노릇을 해주는 생명로봇이라니 좀 섬뜩하다. 영화나 책에서 만난 것들이 멀지 않은 미래에 현실이 되는 걸 우리는 종종 경험했다. 인공지능 로봇이 점점 발전되고, 인터넷 사이트에선 동물을 키우는 것에서 더 나아가 아이를 키우는 게임이 유행한다. 이런 추세라면 생명장난감인 엄마를 주문해서 사용하는 발칙한 상상도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거 같다.
엄마들은 밖에 나와서도 핸드폰으로 자녀들을 원격조종하는데, 오히려 엄마의 존재감은 위협받는 세상이다. 과연 아이들은 엄마를 어떤 존재로 생각할까? 끊임없이 잔소리나 해대는 귀찮은 존재, 만날 공부나 하라고 몰아세우는 사람, 엄마도 제대로 안하면서 완벽하기를 요구하는 욕심쟁이? 엄마는 자식에게 어떤 존재이고, 어떠해야 하는가를 생각하게 되는 책이다.
책은 재밌게 술술 읽었는데 리뷰쓰기는 쉽지 않다. 왜냐면 내가 제대로 엄마 노릇을 하고 있는지 생각하느라고... 고2가 된 우리 막내가 두 살 때, "엄마는 뭐하는 사람이야?" 물으면 "엄마는 공부하는 사람!"이라고 대답했었다. 난, 지금도 밥하고 빨래하고 청소하는 것보다는 책을 읽거나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게 좋다. 그래서 태성이가 소리친 엄마의 정의에 따르자면 나도 불량품이다. 어쩌면 엄마들 스스로도 태성이와 같은 정의를 내리지 않을까?
현수에게 네 엄마는 불량품이라고 소리치는 태성이의 말을 들어보자.
"엄마가 아침에 깨워 주지 않으면 불량품인 거지. 그리고 너 어제 입은 옷을 오늘도 입고 왔잖아. 그것만 봐도 네 엄마는 불량품이야"(48쪽)
"엄마는 아이를 돌보라고 있는 거야. 청소랑 빨래도 하고, 맛있는 거 먹고 싶다고 하면 만들어 주고, 뭐든지 내가 하라는 대로 다 해 주는 게 엄마야. 아침엔 제일 먼저 일어나서 밥 차려 놓고 날 깨워 줘야지, 그게 아니면 엄마가 왜 필요하냐?"(49쪽)
태성이의 말처럼 엄마는 이런 역할을 하는 존재이고, 역할을 잘하지 않으면 불량한 엄마일까?
현수가 할아버지와 나누는 대화를 보면, 현수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엄마의 모습이 드러난다.
"네가 생각한 엄마는 어떤데?"
"안아 주고, 책도 읽어 주고, 사랑한다고 말해 주는 엄마요."(67쪽)
태성이가 정의하는 엄마와 현수가 생각하는 엄마가 합체된 이상적인 엄마도 여전히 뭔가 해줘야 되는 사람이다. 엄마란 존재는 역할을 통해서만 그 가치가 증명되고 인정받을 수 있나?
현수에게 배달된 엄마는 완벽한 제품이라는 사용설명서에도 불구하고, 현수가 바라는 엄마가 되어 주지는 않는다. 할아버지는 현수에게 말한다.
"엄마는 불량품이 아니라, 아기처럼 아무것도 모르는 게 아닐까? 갓 태어난 아기처럼 말이다. 그러니까 네가 엄마에게 알려 주면 어떻겠니? 엄마는 너를 처음 보아서 모르는 것일 뿐이니까 말이다."(73쪽)
이 부분을 읽으며 <동갑내기 울 엄마>라는 그림책이 생각났다. 아기를 낳아야 엄마가 되니까 아이와 같이 나이를 먹는 동갑내기 엄마라는 말이 꽤 설득력 있었다. 엄마노릇이 버거워 아이를 방치하거나 우울증에 걸린 엄마들 소식이 종종 들린다. 엄마노릇이 쉽지 않기 때문이리라. 이 책을 읽은 아이들은 엄마를 제대로 사용하는지 살펴볼 것이고, 이 책을 엄마가 읽으면 제대로 엄마노릇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게 된다.
생명장난감은 진짜 엄마처럼 마음을 갖고 사랑하거나 웃으면 불량품이라고 파란 사냥꾼에게 잡혀가 폐기된다. 현수의 엄마는 현수가 가르쳐준대로 책도 읽어주고 산책도 하며 다정한 엄마가 되었더니, 불량품이라고 파란 사냥꾼에게 쫒긴다. 현수와 엄마는 정이 들어서 헤어지기 싫었지만, 아빠는 엄마를 안전하게 도피시킨다. 현수는 엄마가 떠난 후에야 완성하지 못했던 가족 그림에 엄마 얼굴을 그릴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는 요렇게 끝나지 않고 뭉클하고 행복한 마무리다. ^^
태성이의 장난감이었던 고릴라가 같이 놀고 싶어서 똥을 집어던지는 건 태성이에게 배운 것이고, 현수 엄마가 하는 것은 현수에게 배운 것이다. 고릴라와 현수 엄마의 모습에서 '본대로 배운대로'라는 말이 고스란이 드러난다.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고, 부모 또한 자식의 거울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신경숙은 <엄마를 부탁해>에서 엄마의 부재로 엄마의 존재를 깨달으며, 엄마에게도 일평생 엄마가 필요했다고 말한다. 엄마 없는 아이가 생명장난감인 엄마를 주문해 사용하는 황당하고 발칙한 이야기는 엄마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생각케 한다. 그렇다면 엄마가 있는 아이들과 가족은 모두 행복한가? 과연 엄마는 자기 편할 대로 부려먹기만 하는 희생만 하는 존재여야 할까? 엄마를 어떻게 써야 제대로 사용한다는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