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재랑 공재랑 동네 한 바퀴 ㅣ 내가 처음 가본 그림 박물관 6
조은수 글, 문승연 꾸밈 / 길벗어린이 / 1997년 3월
평점 :
김홍도 '서당' 그림에서 두 소년을 아재와 공재로 설정하고 이야기를 끌어 나간다. 우리 그림에 이야기를 붙여 당시의 삶을 보여주는 방식이 낯설지 않은 건, 그림이 우리 눈에 익숙하기 때문일 것이다. 공재 윤두서와 관아재 조영석의 호에서 따온, 주인공 소년의 이름도 친숙함을 더한다.
좋은 그림책임에도 별 하나를 빼고 넷을 준 것은 제 편의 그림이 원화와 반대로 뒤집혔기 때문이다. 속표지에 실린 김홍도의 '우물가'와 조영석의 '이잡는 늙은 스님'과 '손으로 돌리는 기계 일', 권용정의 '등짐장수'가 뒤집기로 편집되었다. 책의 좌우 어디에 배치하는가에 따라 자연스레 어울리도록 일부러 '뒤집기'를 한 것으로 짐작되나 원화를 모르면 그냥 넘어갈 오류라 생각돼 눈물을 머금고 별 하나 감점이다. 원화를 뒤집을 게 아니라, 편집을 바꿔 원화대로 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야기를 끌어가는 아재는 입가에 손을 대고 속삭이는 소년이고, 공재는 훈장님의 회초리를 맞고 눈물 찔끔이는 소년이다. "공재야, 오늘 사또 나으리 행차시래. 우리 구경가자." 눈물 글썽이던 공재는 아재를 따라 신나는 사또 행차를 구경가면서 우리네 사는 모습을 담아낸다.
단원과 혜원의 풍속화에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담아낸 '바람의 화원'을 읽은 후라, 책 속에 담긴 단원과 혜원의 그림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바람의 화원을 떠올리게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놀이처럼 이야기를 끌어 간다.
"글방을 나와서 어디만큼 왔나? 순이네까지 왔지."
"순이네를 지나서 어디만큼 왔나? 한길까지 왔지."
아이들이 즐겨부르는 노랫말로 이야기를 끌어가면서 풍속화를 하나씩 보여준다. 아재와 공재는 사람 사는 모습을 담은 그림으로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끌어 들인다. 집짓는 모습과 밭가는 사람들, 옹기종기 둘러앉아 새참을 먹는 모습은 우리 조상들이 살던 조선시대로 순간 이동시켜 준다.
잔치 잔치 벌려 삼현육각을 울리고 무동이 춤을 추는 잔치판은 언제라도 흥겨웁다. 한 사람씩 상을 따로 받은 모습은 정말 장관이다. 잔치판을 지나니 봄나들이 가는 사람들과 그네를 뛰는 각시들도 보인다. 강가에선 물고기를 잡아 술도 한 잔 마셔가며 잔치판이 벌어졌다.
마을 길을 돌고 돌아 이모 저모 사람 사는 모습을 두루 구경한 공재와 아재는 드디어 사또 행차가 한창인 강가에 도착했다. 강물에 배 띄우고 환하게 횃불을 든 사람들 틈에서 사또 나으리 행렬을 보느라 눈이 화등잔만 했을 듯...^^
아재를 따라 동네 한바퀴 돌며 사또 행차까지 구경한 공재는 얼른 집으로 돌아가 천자문을 외워야 한다. 그래야 내일 서당에서 훈장님께 꾸중을 안 듣겠지~~ ^^
책 뒤에는 이야기 속에 나온 그림을 실어, 누가 그린 어떤 그림이며 현재 어디에 소장돼 있는지 안내하고 있다. 무엇이든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다. 특히 우리 것이 홀대받는 현실에서 우리 것을 가르치고 보여주는 '내가 처음 가 본 그림 박물관' 시리즈는 높은 점수를 줄 만하다. 우리가 우리 것을 외면한다면 누가 우리 것을 알아준단 말인가? 피카소나 마티스보다 김홍도와 신윤복을 더 잘 알고, 관아재 조영석과 김득신도 아는 사랑스런 우리 아이들로 키워가야 하리라.
"얘들아, 우리도 아재랑 공재를 따라 그림 박물관에 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