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 소년 비룡소의 그림동화 28
야시마 타로 글.그림, 윤구병 옮김 / 비룡소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누군가 다른 짓을 하면 받아들이지 못한다. 받아들이기 전에 이해하려고도 않는 경향이 강하다. 우리 교육현실이 모범답안만 요구하고 모두 똑같으라고 강요받았기 때문일거라 생각해 본다. 이 책은 거친 그림과 한 두줄 간결한 문장으로 많은 걸 생각케 하는 그림책이다. 하지만 그림 자체는 아이들에게 큰 호감을 얻기 어렵다. 색깔이 제자리를 찾지 못한 옛날의 해적판 같은 맛이 난다. 원화가 그럴텐데도 마치 인쇄가 잘못된 느낌이다.^^

따돌림 당한 땅꼬마의 입장과 따돌림에 동참한 아이들로 나누어 토론해도 좋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땅꼬마를 이해하고 받아들인 이소베 선생님에 대해서도 생각할 요소가 많다. 아이들과 학부모가 좋아할 선생님의 교육방법에 대한 진지한 접근도 나눌수 있다. 구태의연한 교육법을 고수하며 같은 시행착오를 하는 건 아닌지 자기 성찰도 하게 된다. 다시 한 줄 세우기를 하는 우리 교육정책이 안타깝다. 각자의 개성을 맘껏 발휘하며 자기 삶을 살아가면 안되는 것일까?

학교가 낯설고 무서워 아무것도 배울 수 없었던 아이, 대답도 못하고 공부도 못한다고 바보 멍청이로 불리기도 했던 아이, 아무도 놀아주지 않아 혼자 시간 보내는 방법을 찾아낸 아이는 보기 싫은 것들을 보지 않으려고 사팔뜨기 흉내도 낸다. 무엇이든 관찰하며 놀라운 집중력을 가진 아이는 눈을 감고 귀를 기울여 온갖 소리를 듣는다. 6년간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그 먼길을 타박타박 걸어서 학교에 오가며 까마귀 소리를 들으며 어떤 상황인지 구별하게 된다. 무엇이든 한가지에 몰입하면 달인이 되듯 소년은 까마귀 울음소리의 달인이 된다.

모두에게 따돌림 당하고 잘하는 게 없었던 아이지만 관심을 두고 관찰한 선생님은, 까마귀 울음소리를 잘내는 소년의 재주를 발견하고, 학예회 때 무대에 세워 관심을 받게 된다. 학부모와 아이들은 감동의 눈물을 흘렸고, 6년간 개근한 소년을 장하게 여겼다. 졸업 후에 집안일을 돕는 소년은 땅꼬마가 아닌 '까마동이'라 불렸다.

아이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위로하며, 각자의 장점을 발견하고 키워준 이소베선생님 같은 분들이 많아지길 바라며 우리 교육에 희망을 가져본다.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가 볼 수 있고, 부모님이 함께 읽고 토론할 수 있는 책으로 추천한다. 반군국주의 활동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살며 작품활동을 한 야시마 타로는 칼데곳 상을 세번이나 받았는데, '까마귀 소년'도 칼데곳 상을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