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청님의 페이퍼에서 '장진주사'를 보고 생각 나서 끼적여본다.
지난 토요일 KBS TV '한국사 전' (내가 유일하게 챙겨보는 프로그램)에서 송강 정철이 나왔다. 기축옥사를 몰고 온 정치인 송강에 대한 평가와 시인으로 본 송강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지만, 내가 그것을 왈가왈부할 지식이 있는 것도 아니니 그냥 덮어두고, 엄청나게 술을 좋아해 늘 취해서 정사를 봤다는 송강. 보기 딱한 임금께서 "딱 한잔만 마시라"고 은잔을 하사하셨는데, 송강이 두드려 펴서 늘렸다는 그 은잔이 가보로 전해지고 있었다. 하여간 이렇게 술을 좋아했으니 '장진주사'는 당연히 송강이 쓸만한 시였다. ^^
유홍준 선생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1'에 실렸는데, 내가 사는 빛고을에서 가까운 담양은 가사문학의 산실로 송강 정철의 고향 마을인 지실마을과 그의 정자인 '송강정'을 둘러볼 수 있다. 마노아샘과 소곤거렸던 '여름방학 광주이벤트'를 한다면, 바로 가사문학의 산실인 담양을 안내하려고 한다. 소쇄원과 더불어 송강정, 식영정, 환벽당, 취가정, 명옥헌... 등 누정문화를 흠뻑 맛볼 수 있다. 식영정 옆에 거대하게 솟아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멋대가리 없는 '가사문학관'까지 둘러 보면, 가사문학의 자료도 만끽할 수 있다.
자, 본론으로 돌아와 '장진주사'에 대해 유감을 표시한 유홍준선생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1'권 302~303쪽에 실린 내용을 옮겨본다. 물론 나도 공감하고 동의하기 때문이지만. ^^
한 잔 먹세그려, 또 한 잔 먹세그려
꽃 꺾어 세하면서 무진무진 먹세그려
이 몸 죽은 후에
지게 위에 거적 덮어 졸라매어 지고 가나
화려한 꽃상여에 만인이 울며 가나
억새, 속새, 떡갈나무, 백양 속에 가기만 하면 누른 해, 흰 달, 가는 비, 굵은 눈, 쌀쌀한 바람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 할꼬
하물며 무덤 위에 원숭이 휘파람 불 때 뉘우친들 무엇하리
이만한 낭만과 호기라면 한번쯤 가져볼 만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내가 송강의 '장진주사'를 무작정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내게는 그럴 만한 풍류도 허무도 없다. 더더욱 마지막 구절 "원숭이 휘파람"이라는 표현은 아주 못마땅하다. 송강은 원숭이를 본 일도 없었을뿐더러 동시대 독자인들 그런 이국의 짐승을 알 리 만무한데 왜, 그것도 마지막 구절에 집어넣었는가? 만약에 '송장메뚜기 뛰놀 때'라고 했으면 확연히 그 의미가 살아나는 것이 아닐까.
나는 여기에서 송강과 송강시대 지식인의 한 단편을 본다. 모든 것을 자기 정서에 내맡기지 못하는 불안감, 뭔가 남 모를 유식한 끼가 있어야 차원이 높아 보이고, 이국적인 냄새도 약간 풍겨야 촌스러움을 벗어날 것 같은 착각이 일어나는 자신감의 상실증인 것이다.
나는 송강의 이 허구성을 우리 시대의 민족문학, 민족예술에서도 수없이 보아왔다. 평론, 시, 그림, 음악, 연극 모든 분야에서 부질없이 유식한 체하기도 하고 모더니즘 냄새를 풍기고 인용하지 않아도 좋을 명저의 구절을 인용하고......
송강이 성리학의 세계관에 입각해 사물을 인식한 것은 그가 넘기 어려운 성벽 안쪽 일이었음을 용인하지만 나는 이 '원숭이 정서'만은 이해도 용서도 못한다.
--------------------------------------------------------유홍준의 글, 일부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