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세번 이상 읽고 아이가 남긴 흔적이다. 자기 생각에도 6학년이 이런 생각하다니 싶었나보다 ㅎㅎㅎ 우리 애들의 최고 장점이자 단점이랄 수 있는 '지나치게 솔직함'이 여기서도 작용했다. 뭐 솔직함이 강점으로 작용하는 세상도 있으니까... ^^

태조와 정종실록에서 눈에 들어온 건...... 6학년 선민경

 

권력이란 참 무서운 것 같다. 정치적 입장 차이로 한 때 절친한 벗이었던 자들을 죽이질 않나, 자신의 친형제를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지 않나.... 왕의 자리가 그렇게 좋을까? 나라면 싫을 것 같다. 게다가 정종처럼 잠시 자리를 맡아놓는 역할일 뿐일 땐 말이다.

변방의 촌놈에서 한 나라의 왕이 된 태조 이성계. 그러나 친아들에 의해 왕위에서 쫓겨난다. 참 사람 사는 게 한 순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차 하는 순간 바로 와르르 무너지니 말이다. 초등학교 6학년이 이런 생각을 하다니...... 아무튼 그렇게 물러난 태조 대신 이방원은 자신의 형인 영안군 방과를 정종으로 올려놓는다. 정종은 왕위를 잘 물려주지 않아 태조를 애먹였던 공양왕과는 달리 순순히 이방원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하여튼 태종은 참 대단한 사람이다. 최고의 실세였던 정도전, 자신의 아버지 이성계, 배 다른 형제들 모두 물리치고 왕위에 오르니 말이다. 난 그것밖엔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