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봄 동백꽃 외 7편 홍신 한국대표단편선 11
김유정 외 지음 / 홍신문화사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1930년대 일제강점기 우리 농촌을 배경으로 한 대부분의 작품에서 식민지 조선의 피폐해진 농촌을 들여다볼 수 있다. 김유정은 도시하층민이나 농촌의 가난한 소작인들을 대상으로 한 그의 소설에서 걸직한 구어체의 문장으로 해학적인 효과를 두드러지게 한다. 당시 3%의 부농과 27%의 자작농을 제외하면 70% 이상이 소작농으로 전락한, 우리 농촌의 피폐성을 뻔히 알 수 있기에 굳이 말하지 않고 슬쩍 던져 놓음으로 골계와 해학성을 드러낸다.

김유정은 1935년에 '소낙비'를 들고 나와 1937년 사망하기까지 2년이라는 짧은 기간 작품활동을 했지만, 이 시기의 어떤 작가보다도 사랑받고 기억되는 작가다. 명창 장녹주를 향한 그의 짝사랑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으며, 금광을 했던 매형 밑에 있었던 경험이 '금따는 콩밭'이나 '따라지' 같은 작품으로 나타났다. 그는 중학교 때 하모니카의 명수였으나 후에는 결핵으로 두 절을 따라가기도 숨이 차서 쩔쩔맸다고 한다.(모던수필 258~263쪽 참조)

표제가 된 동백꽃은 중학교 2학년 2학기 생활국어에 발화의 예시문으로 수록되었다. 동백꽃의 점순이가 좋아하는 그의 닭을 괴롭히며 관심을 끌어보지만, 끝내 점순이의 감정을 알아채지 못하는 그를 알싸한 동백꽃 향기속으로 쓰러뜨린다. 여기서 나오는 동백꽃이란 남쪽에 피는 붉은 동백꽃이 아니라, 산수유 같은 노란 생강나무를 이르는 강원도 말의 '동박꽃'이 잘못 표기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예 노란 생강나무라고 했다면 많은 독자들이 동백꽃을 오해하거나, 노란 동백꽃이란 말에 고개를 갸웃거리지 않았을 것이다.

김유정 단편 다섯 편 외에도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1일'과 전영택의 '화수분'이 실려 한국문학을 배우는 중,고등학생에게 도움이 된다. 아주 친절한 작품해설이 곁들여져 학생들이 좋아하며, 우리 문학의 이해를 돕는 길잡이 역할을 톡톡히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