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아 풀아 애기똥풀아 - 식물편, 생태 동시 그림책 푸른책들 동시그림책 3
정지용 외 지음, 신형건 엮음, 양상용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겉표지의 물구나무 선 익살맞은 녀석이 정겹네요. 우리의 산자락과 들판에 핀 풀꽃을 어쩜 이리도 정감있게 그려냈는지요.  버들강아지와 개구리, 제비꽃과 호랑나비, 민들레와 병아리, 할미꽃과 제비...... 한 장면 한 장면 풀꽃과 짝을 맞춘 것들을 숨은그림 찾듯이 찾아보는 맛도 좋아요. 풀꽃시의 향기를 한껏 살려주는 그림을 보고 또 보며 그리신 양상용님께 감사하며 넙죽~ 절합니다.

엄마가 씌워 준 털모자를 쓰고 쏘옥쏘옥 얼굴 내민 버들강아지.
겨우내 들이 꾼 꿈 중에서 가장 예쁜 꿈 제비꽃.
"나도 어린시절이 있었단다"  읊조리는 할머니의 할미꽃.
이슬이 내려와 같이 자고, 햇빛이 입 맞추고 간 해바라기.
너도 엄마한테 혼났어 그래도 집에 가렴 꽃다지야.
언제부터 거기 있었는지 오래오래 서 있는 개망초꽃.
다닥다닥 밥풀을 달고 선 놀부네 밥주걱 꽃며느리밥풀.
작은 바람에도 가만 있지 못하고 이리 뛰고 저리 뛰는 강아지풀.
지나가는 사람들에 화살 한 촉씩 쏘아대는 도깨비바늘.
철늦은 호박꽃에도 -이제 피면 어쩌지 언제 호박 열리게-

편편마다 스며 든 시인의 눈길이 어쩜 그리 곱고 예쁜지, 흔하디 흔한 꽃에 애정의 눈길로 잡아낸 한 절 한 절에 감동이 밀려오네요. 같은 풀꽃을 보고도 느낌없이 바라봤던 나의 눈길이 부끄러운 시간이기도 하고요. 아~ 이렇게 다른 시선이 있기에 시인이 되고, 화가가 되겠지요! 그저 감탄하며 감동할 뿐이예요. 담장 밑 강아지풀과 사방으로 달음박질하는 아이들 그림이 어찌나 실감나는지...... 도깨비바늘을 떼어내는 아이들도, 내 유년기의 한 장면을 옮겨 놓으셨네요!

초등학교 교과서 1-2 읽기 '강아지 똥'에 나온 민들레꽃과 2-2 읽기에 애기똥풀과 강아지풀, 3-2 읽기에도 '소나기를 이긴 강아지풀'이 나오네요. 5-2 읽기 '풀꽃아기'에 강아지풀이, 사진으로는 개망초와 토끼풀, 민들레꽃이 나오지만, 아이들이 교과서에서 접하는 풀꽃도 사실 많지 않아요.
이런 생태동시집으로 풀냄새 물씬 나는 시와 그림을 보면, 시까지 외우고 풀꽃을 아는데 좋은 길잡이가 될것 같아요. 물론 본문의 해설과 뒤쪽에 '더 알고 싶어요'가 있으니 확실한 풀꽃 공부도 할 수 있어 좋아요.

한가지 아쉬운 것은 차례에만 시인의 이름이 있고 본문에는 시인의 이름이 없어서, 이렇게 멋지게 표현한 시인이 누구인지 다시 차례를 넘겨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