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된 할아버지 책읽는 가족 52
문영숙 지음, 이영림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주변에 치매노인 때문에 고생하는 가정들이 늘어간다. 이제 남의 불구경하듯 할 일이 아니다. 정부가 치매노인을 위한 지원을 한다니 이런 복지사회가 구현될 때 우리도 제대로 된 선진국가가 되리라 기대한다.


그림이 참 독특하다. 맘껏 펼쳐놓지 않고 빼꼼히 열린 방문 너머로 살짝 보여준다. 징채를 잡은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징을 빼앗느라 옥신각신 하는 모습이나 고두실로 가야 한다며 잠옷 바지에 윗저고리만 입은 할아버지가 방문을 나서는 모습은 엿보기가 민망스럽다. 치매노인의 문제는 이렇게 확 드러내놓기가 어렵다. 아무리 잘 모신다 해도 공이 없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일이 며느리의 몫이 된 버거움에 엄마는 잠시 가출한다. 아들이나 딸보다 며느리들이 온전히 감당하는 것이 우리네 현실이라 충분히 공감이 간다.


찬우엄마의 가출 이후 아빠나 고모도 미안하다면 몫을 나눠 감당하지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할아버지와 한방을 쓰며 말동무와 잔심부름 하는 찬우도 마음이 편치 않다. 할아버지에 대해 귀찮은 생각이 스멀스멀 스며들기 때문이다. 또 엄마나 아빠가 늙어 치매에 걸린다면, 과연 나는 엄마나 아빠처럼 할 수 있을까? 할아버지를 돌보느라 지친 엄마와 솔직한 찬우 마음을 들여다 본 독자도 편하지 않다. 누구도 치매노인을 잘 모신다고 자신할 수 없고, 나한데 왜 이런 상황이 주어졌을까 원망하고 싶을 것이다.


지친 가족들에게 찬우는 해답을 제시한다. 남에게 해를 끼치는 일이 아니라면, 그냥 할아버지 하고 싶은 대로 하게 해 드리자고. 찬우의 말에 동의한 엄마는 한시름 놓는다. 이것으로 끝났다면 우리 이웃의 치매노인과 다를 바 없을 텐데, 징소리에 집착하는 할아버지에게 충분한 개연성을 부여하기에 이 작품은 빛을 발한다.


일제강점기 증조할아버지가 산속 움막에 숨어 방짜 징을 만들어 그 명맥을 유지하다가, 마지막 징을 할아버지에게 전하고 일제에게 발각돼 죽임을 당한 증조할아버지의 한을 어찌 잊겠는가! 시대의 고난과 개인의 아픔에 맞물려 징소리에 집착하는 할아버지가 눈물겹다. 물속에 잠긴 고두실을 바라보며 원 없이 징을 친 할아버지는 한을 풀고, 할아버지를 이해한 가족들은 본래의 자리로 돌아온다.

하늘의 이치를 깨우치는 징소리에 집착하는 할아버지를 온전히 이해하고, 아기를 돌보듯 할아버지를 돌보는 엄마를 통해 내리사랑과 치사랑의 의미도 제대로 깨닫는다. 며느리지만 할아버지를 돌보는 그 마음은 바로 위대한 모성이었다.


102살까지 사신 시할머니를 모시느라 평생을 며느리로만 살다 가신 시어머니가 생각나 많이 눈물났다. '만약 우리 부모가 치매에 걸린다면 나도 저렇게 할 수 있을까?' 찬우와 엄마를 통해 끊임없이 내 마음까지 저울질당해 얄밉도록 불편했지만, '아기가 된 할아버지'는 따뜻한 가슴으로 공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