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첫날 10시, KB국민은행과 (사)도서관을만드는사람들 지원으로 혜윰마루작은도서관에서 최유정 작가와 만남이 진행되었다. 24명(청소년16, 성인 8)이 참여해 80년 5월 광주의 참담했던 상황과 현재에도 지속되는 상처에 대해 이야기했다.

출판사 의뢰를 받고도 광주 이야기를 그려낼 수 없었던 작가는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진행된 피해자들 이야기를 듣고, 하얀 운동화를 가슴에 안고 눈물을 쏟았던 그 아재의 이야기로 ‘나는 아직도 아픕니다‘ 첫 문장을 썼단다.

80년 당시 중학생이었던 작가도 5월 광주에 대한 인식은 현재 청소년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어느날 역사가 운명처럼 다가와 부채감이 컸다고 한다. 80년 5월을 더 묵히고 삭혀서 풀었어야 했는데 욕심을 내다보니 여백(여운)이 부족했다는 아쉬움을 말했지만, 독자인 내가 보기엔 충분이 여운이 남는 의미가 큰 작품이다.

참가자들의 질문으로 작가의 길을 걷게 된 배경과 소설 쓰기의 어려움을 들었고, 작가 안의 ‘어린 나‘를 계속 지켜보며 어린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을 풀어낸 작품 이야기도 들었다.

80년 5월을 겪지 않은 청소년들은 부모님께 들은 공포의 군홧발소리와 두려운 기억들을 5월 이야기로 전했다.

최유정 작가는 ˝80년 5월의 진실을 덮으려는 세력들은 순수하지 못하다. 정의롭고 정당한 권리가 인정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선한 의지대로 역사가 가야한다. 그래서 우리가 80년 5월의 진실을 찾아내고 자꾸 이야기해야 한다!˝ 고 마무리했다.

작가가 읽어준 ‘나는 아직도 아픕니다‘ 첫 부분은...

˝아따, 불 좀 끄시오! 양계장도 아니고 밤낮 불을 켜 놓으면 어찌 산다요?˝
아짐이 악을 쓰며 딸깍 불을 껐습니다. 아재가 황급히 일어나 불을 다시 켰습니다. 크응! 아짐이 마뜩찮은 듯 이불을 홱 뒤집어 썼습니다. 아재는 그만 풀이 죽었습니다. 조용히 일어나 딸깍, 불을 끄고는 커튼을 조금 열어 가로등 빛을 불러들였습니다.
˝인자 고만 주무시오. 잠을 자야.......˝
아짐이 잠꼬대처럼 말을 흘렸습니다.
‘나도 그러고 잪네. 나도 다디달게 자고 싶단 말이세.‘
아재는 방바닥에 비친 가로등 빛을 손으로 만져보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좋은 질문과 아빠에게 들은 5월 이야기를 전하거나 ‘오월 광주, 최유정‘을 시제로 삼행시를 써서 여덟 명이 작가 사인본을 선물받았다. 그중 청소년들의 오월광주 4행시는 뭉클하다~♥

광주에서 모인 주로 청소년층은 오월 이야기를 알고 있을까? 월별마다 기억할 수 있도록 오늘 집중하자.(조*지)

광주에 사는 주민들에게 오월이란 단순한 12개 중 하나의 월(달)이 아닌 머리에 각인되어 잊혀지지 않는 상처이다.(현*원)

광주에서 오월민주화운동은 주로 전두환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오랫동안 시위하여 월등한 민주주의 시위를 보여준 최고의 운동이었다.(김*서)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마음을 담은 참여 소감은 사진으로 덧붙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2-13 09: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13 14:1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