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탄자니아의 거대한 탕가니카(바이칼호 다음으로 크다는)호수에 큰 배가 물살을 가로지른다. 1등석 비용이 부담스러우면 파격적으로 3등화물석은 한 명 자리 값만 내면 식구들을 같이 타게 해준다(3천원). 몰래 탔다가는 밖으로 던져진다(라는 승객 인터뷰가 있다). 승하선 시에 규칙과 질서가 없어 혼란한데 다 같이 내리는 중에 다 같이 오르려는 중이므로 승객들은 폭발하여 몸싸움을 하곤 한다.


힘겹고 붐비는 화물칸에는 돈이 없어졌다고 주장하는 아주머님이 있다. 이십팔만(대장경)육천원이 없어지고 이만오천원 뿐이안 남아 있다고 얼른 내놓으라고 한다. 훔치지 않아 돌려줄 돈이 없다고 주장하는 의심 받는 아기엄마는 가진 돈을 보자는 요구를 결국 '받아 안고' 돈을 꺼내 보인다. 이건 내 돈이라며 흐느껴 운다.“돈 훔친 자에게는 가난이 쫒아갈 것이요, 그 돈을 쓰면 불행이 따를 것이다라며 중재하러 온 선장은 일갈하나, 그녀의 가진 둥 마는 둥 한 액수의 돈을 보더니 돈의 크기가 다르고 액수가 터무니없이 어긋나니 누명이었음을 밝혀준다.


1등석은 평화롭다. 식당 칸도 시설이 좋다. 선장은 주방장을 칭찬한다. 주방장은 화알짝 웃는다. 오늘 메뉴는 매운 양고기, 튀김류, 쌀밥, 생선 등이 있고, 싣고 가는 싱싱한(=살아있는) 닭들을 소개하며 이렇게 말한다.“우리는 닭 백 마리를 먹어요.”2,3등석은 냄새만 맡을 수 있다.


탄자니아는 악마의 손길이 뻗친 낙원 같다(라고 나레이터는 말한다). 소와 야크가 평화롭게 지나가는 아름다운 땅에 주술이 일상생활에 끼어들기도 한다. 무거운 돌을 환자 가슴에 얹고 작은 망치로 살짝 치고, 도끼날을 가슴에 대고 작은 망치로 살짝 친다. 팔이나 머리에 면도땡을 살짝 그어 피를 내고 악마를 내보낸다(고 주술치료사는 주장한다). 그는 부적을 사업가나 정치인에게 팔기도 한다.


백색증 환자의 신체 일부를 가지면 부자가 된다거나 선거에 당선된다는 미신이 있어서 손가락은 칠십삼만원, 시체는 천만원에 거래된다. 극심한 빈곤으로 인해 그 일을 대행해주고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오밤중에 백색증 환자 집에 침입하여 횃불을 들이밀고 손가락을 잘라 달아났다고 백색증쉼터의 당사자는 증언한다.


25년 동안 탄자니아의 인구는 두 배 증가했고 그 나라를 봐서도 지구를 봐서도 무시무시한 속도다. 어떤 어부는 정수 안 된 더러운 호수의 물을 그냥 마시는데 질병과 콜레라 같은 전염병에 노출돼 있다. 먹을 것은 물고기뿐이지만 그물을 쳐도 걸려 나오는 게 없다. 이곳에서 물고기를 잡으려고 노 젓던 사람은 서른 명이었는데 이후 오백 명이 되더니 지나친 남획으로 씨가 마른 것이다. 그래도 그는 말한다. “믿기 힘든 상황이지만 그래도 노력 해야죠.”


한편 화물칸에 타고, 도둑 누명을 쓰고, 울고, 굶고, 아기가 더울 새라 보살피던 젊은 새댁엄마여자시민사람은 목적지에 도착한 후 첫 직업으로 논일을 택한다.우린 항상 함께 일하네. 전사처럼 일하네.” 밝디 밝은 얼굴들 여럿이 까딱까닥 흥겹게 노동요를 부르며 손으로 모를 꼭꼭 심는다. 나도 흥이 돋는다. 돈워리 비해피 하쿠나 마타타. 잠보 잠보브와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