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는 세계의 온갖 인종들이 다 모인 곳이었다.  

... 사람들은 모두 이리저리 막 몰고 다니는 자동차에 치이지 않기 위해서 앞을 다투어 뛰어다녔다. 사람들이 그렇게 긴장 상태에서 살아야 하는 것이, 자동차는 자동차대로 사정없이 달리고 항구의 배들도 그리고 큰 건물의 지붕 위에 달린 선전물들과 사람들의 마음까지 서두르게 하기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사람들이 정신을 차리지 않고 집중하지 않으면 큰 일 나는 세상 같았다. 행동이 민첩하고 강한 자가 생존경쟁에서 승자가 되고, 그렇지 못하고 느릿느릿하며 약한 자는 패자가 되는 그저 난폭하고 매정한 인간들이 사는 곳이었다. 

그러니 사람들은 울 시간도 웃을 시간도 없을 정도였다.(146~147쪽)



... 수백 명의 품팔이꾼들은 손수레를 끌면서 자기네끼리 방향이나 속력을 서로 말하기 위해 이상스러운 소리들을 지르며 달렸다. 짐꾼들은 목적지에 도달하면 품삯을 받지만 그 돈으로는 담배 한 갑도 살까말까 하는 박한 노임이었다. 돈이 적다고 짐 주인에게 몇 푼 더 달라고 손을 내밀다가는 어떤 때는 뺨을 한 대 얻어맞는 수도 있고 때로는 들고 있던 지팡이로 정수리를 얻어맞는 일도 간혹 있었다.그러면 이 불쌍한 일꾼들은 아무 말도 못 하고 돌아서서 도망쳐버리곤 했다. 이 일꾼들은 벌써 직업적으로 귀가 밝아서 어디서 짐꾼을 부르는 소리가 나면 얼른 알아듣고 손수레를 끌고 좋아서 누가 부르는 쪽으로 달려갔다. 일꾼들은 대부분 상의를 벗고 짐을 끌기 때문에 오늘같이 비가 오는 날에는 몸에서 빗물이 줄줄 흘러내렸다.(147~148쪽)








1910년 8월 28일,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가였던 데라우치(데라우치 마사다케. 1852~1919. 1910년 당시 초대 조선 총독)에게는 대단히 중대한 문서가 전달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일 정씨 가족묘(迎日鄭氏家族墓) 

여기 이 비석을 세워 기리는 분은 우리 동기를 낳아 길러주신 어른이시며

그 은혜 높고 커서 하늘을 우러러 헤아릴 길 없고 해와 달을 더불어 길이 잊을 수 없도다.

어르신께서는 서기 1891년 8월 16일(음력)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 갈전리 시조 형양공의 

제27대손 명자 해자 쓰는 분의 세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시었다.

1919년 한양조씨 충성 여사와 혼인하여 슬하에 두화, 기화, 규화, 양화 4남을 두시고 

일생을 유학의 가르침대로 곧고 바르게 사시었다. 

1951년 어느 날 민족분단의 와중에서 불운하게 서거하시니 향년 60세, 그 날에 산천초목도

목이메어 울었다 한다. 

저 창공을 날으는 새여! 맴을 도는 무심한 구름이여! 예사로 지나지 말지어다.

오늘 우리 후손들은 어른께서 애석하게 타계하신 그 날의 아픔과 한을 달래고 깨치신 뜻 길이

전하고자 작은 정성 돌에 새겨 여기에 세운다.

1990년 4월 5일 

아들 두화, 기화, 규화, 양화

손자 홍양, 창양, 동양, 문교


정두화 1922. 3. 24 생(음) 2011. 10. 29 졸

한영숙 1927.12.11 생(음) 2010.  3. 24 졸

정기화 1925. 12. 5 생 2011. 5. 29 졸

정규화 1933. 7. 9 생(음) 2014. 2. 23 졸

        

첨언) 비석의 국한문 혼용 표기를 한글로 옮겼으며, 틀린 자가 없거나 있을 수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12-1 시안 공원묘지(비석번호6917) 


서울에서 가려면 - 


1.  사당역 3번 출구 나가서  -  좌석버스 1500-2 를 타고  -  오포 장례식장, 주성엔지니어링 정거장에서 하차  -   하차 후 맞은편으로 건너 가서 -  오포장례식장 간판을 끼고 우회전하면 언덕으로 좌측에 화장실이 있다   


- 화장실 옆 공사 중인 큰 흙바닥 주차장 시멘트 길 정면에서 보면 현수막이 있다(96년 이전 사용하신 매장묘는 개장절차를 안내받으시기 바랍니다). 그 현수막을 사이에 두고 좁다란 왼편 길과 오른편 길이 있는데, 현수막 왼편 길(시멘트길)로 주욱 올라간다 


 -  길이 갈라지는 곳이 나온다(겨우 차 돌릴 수 있을 만한 세모꼴 시멘트). 여기에서 오른편(주의: 왼쪽 아닌 오른쪽)으로 난 길을 선택해서 계속 올라가면  -  시멘트가 끊어지고 흙길이 시작되는 곳, 계단이 있다. 그 왼편에 큰 소나무가 한그루 있다. -  바로 그 위쪽 평지에 있음.


첨언하면 소나무 왼편으로(다음 칸) 위 쪽에  -  축대 밑에 6개 묘지가 나란히 있다  -  우2묘 좌3묘 사이에 비석번호 6917이 정규화 선생 묘소이다. 내려갈 때, 가파른 언덕 길이므로 운동화 필수(등산화 좋음). 


2.  서울역 버스환승센터(5번 승강장)에서 1150번을 타고 - 오포 장례식장, 주성엔지니어링 정거장에서 하차  -  올라가는 길 동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