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레타 툰베리의 금요일 - 지구를 살리는 어느 가족 이야기
그레타 툰베리 외 지음, 고영아 옮김 / 책담 / 2019년 9월
평점 :
그레타
툰베리의
금요일_
남과
다른
정체성을
지닌
아이들
|
환경문제와 자녀교육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꼭
읽어보면 좋겠다. 천재적인 재능을 가진 자녀들거나 중증 질환을 가지고 있는 자녀들 혹은 그 둘을 모두
갖춘 아이들은 보통의 부모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부모뿐 아니라
사회에서 친구들에게 이해 받지 못하거나 그레타 툰베리처럼 친구들에게 괴롭힘을 당하게 된다.
너무 조용하고 작은 목소리로 말하는
아이, 가족이나 매우 협소한 사람하고만 친밀감을 드러내는 아이는 마치 타인을 밀어내는 듯 보여
사회에서 밀려난다.
스웨덴은 우리가 부러워 하는 북유럽국가며 약자에
대한 이해가 높은 수준의 나라이지만 동시에 공동체 질서와 사회성 또한 중시하는 나라다. 그레타가
야스퍼거 증후군 진단을 받기 전엔 선생님도 아이들도 친구들의 괴롭힘을 당연시 했다.
가족들이 기후환경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게 된
연유는 첫째딸 그레타 툰베리의 신경증성 질환이란 매우 사적인 가족문제로 출발한다.
8살 때 학교에서 환경 다큐를 보고 죽음위기까지 몰고 온 식사거부로 가족들이 툰베리의 원인을 알아가는
과정 중 그레타가 야스퍼거 증후군이란 진단을 받게 된다.
야스퍼거 증후군의 아이들도 전문의들의 소견에
의하면 자폐 스펙트럼에 들어가는 사회성 발달 장애에 들어가지만 인지나 언어능력은 정상이거나 그 이상이다.
야스퍼거 증후군의 아이들은 특정분야에 비범한 재능을 보인다. 그레타는 환경문제로 식사를
거부할 정도로 큰 영향과 관심을 보였고 가족의 지지 하에 환경운동가가 될 수 있었다. 그레타의
영향력은 유럽의 수많은 아이들이 환경에 관심을 갖고 등교거부라는 1인시위운동에 함께 행동하게
움직였다. 환경운동가, 환경연구가, 환경단체인 그린피스 조차 이끌지 못한 강력한 영향력으로 유럽과 전세계에서 어느 시절보다 환경이슈가 크게
부각된다.
너무도 강력한 영향력은 그레타가 여성이고
십대아동이며 장애를 가졌다는 편견 때문에 소로스의 소녀라는 둥 가족의 이익을 위해 쇼를 한다,
그레타의 배후엔 가족이 있다는 등 가짜 뉴스와 혐오발언들로 그들 가족을 험담하고 배척하며 강한 혐오감을 드러낸다. 심지어 미국의 폭스 뉴스의 앵커는 그레타에게 모욕적인 비방도 서슴치 않았다.
그레타 툰베리의 환경운동은 환경운동뿐 아니라
다른 정체성을 지닌 소수자와 여성운동까지 확산된다. 발달장애스펙트럼의 연구는 남아중심으로 연구되어
와서 여자 아이들의 질병은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다. 10대에 발현되는 여자 아이들은 그 양상이
자폐스펙트럼에 들어가는 남아들과 우리들이 알고 있는 특징들과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툰베리 부모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겨운
양육으로 고통 받으면서도 자기 아이들을 몸과 마음으로 그 다름을 받아 들인다. 그레타 툰베리는
야스퍼거 증후군을 가지고 있고 여동생은 ADHS와 극도청각예민증(미소포니아)등의 복합증상을 나타낸다.
그런 자녀들과 가족이 함께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든지 책을 읽으면 느낄 수 있다.
그레타 툰베리는 사춘기 소녀들의 시니컬한 언어로
모순적인 어른들, 기업인들, 정치인들을 꼬집는다.
현실의 익숙한 방식이나 자신의 미래에 대한 생각
따위는 애초에 생각하지 않는 툰베리는 환경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몰입으로 기존환경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다양한
방식으로 창조해낸다.
평범한
사람이 보기엔 강박증처럼 보이지만(대부분의 위대한 사람들_전문가들을 포함한 우리가 숭배하는 사람들-은 툰베리처럼 강한 신념과
몰입 그리고 지속성으로 성공하여 강한 영향력을 주었다.
만일 툰베리가 예술분야에서 그 재능을 꽃피웠다면
세상은 그녀를 덜 두려워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누구나 말하지만 아무도 자신의
책임으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회피하거나 정치적인 구호로만 이용되던 환경오염의 심각한 문제와 우리들의 위선적인 태도들을 지적한다.
툰베리는 과잉소비 고도기술에 집착하는 현대
문명을 정확하게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판뿐 아니라 타협하지 않는 그녀의 일치된
생활이기에 많은 학생들과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친다.
그녀의 너무도 솔직하면서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는 적당히 관심 있는 척하면서 걱정하는 척하면서 일상과 타협하는 나의 민 낯을 보게 한다. 나
역시 환경문제를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대상으로 여기며 가끔씩 환경에 대한 관심을 취향쯤으로 여기며 환경보호란 마크를 달고 있는 상품을
소비하고 있던 것이란 생각에 가슴이 뜨끔했다.
툰베리는 보통의 사람과 같은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나 여러 관계에 얽혀있어 제대로 보지 못하는 환경의 문제와 우리들의 인식태도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나와 다른 정체성을 가진 자녀를 사랑하고
수용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와 다른 취미와 관심을 가진 자녀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도록 지지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곱씹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