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 해방의 괴물 - 팬데믹, 종말, 그리고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 사유
김형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종말의 종말‘을 감행할 수 있을까? 여기에 우리가 감내해야 할 역설이 있다. 종말은 끝나지 않으며 한없이 이어진다. 진정으로 종말을 끝장내기 위해서는 종말을 실행하는 결단이 필요하다. 일상의 회복을 위해서는 일상을 끝장내야 한다. ‘종말을 끝장내기‘ 혹은 ‘종말을 종료하기 위한 결단‘의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세계의 종말‘에 종언을 고하기 위해, 우리는 (일상의) 종말‘을 결단해야 한다. - P2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비, 해방의 괴물 - 팬데믹, 종말, 그리고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 사유
김형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재난 이전의 일상을 그리워하며, 재난으로 인해 평화로운 일상이 파괴되었다고 여긴다. 우리는 재난 이전까지 누려왔던소소한 일상을 그리워하고 있으며, 순진하게도 재난만 종식된다면다시 일상을 되찾을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그러나 사태의 본질은 정확히 그 반대다. 재난 이전에 일상은 이미 망가져 있었다. 불모의 것이 되어버린 일상의 반복이 가져온 귀결이 바로 재난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이다. 그렇다면 접근방식은 달라져야 한다.
팬데믹이 일상을 파괴한 원인이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가 그동안 영위해 자본주의적 일상이 팬데믹이라는 파국을불러왔다면?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주의해야 한다. 엄습하는 재난과 종말 담론은 분명 정신이 번쩍 들 만큼 무시무시한 경고장을 보내고 있다.  - P2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비, 해방의 괴물 - 팬데믹, 종말, 그리고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 사유
김형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가는 대규모 재난이라는 형태로 인간에게 되돌아오기 시작한다. 깊이 상처 입은 자연은 빚을 갚으라고 요구하지만, 자연 앞에서 가진 게 생명뿐인 인간은 달리 지불할 능력이 없다.
이 재난은 자본주의가 다뤄왔고 익숙한 ‘경제적 재난‘과는 다르다. 글로벌 자본주의가 초래하는 재난은 ‘생태적 재난‘이다. 생태적재난은 ‘탈영토화된 재난‘이다. 그것은 종과 지역과 국경을 넘나들며 전 지구를 파멸로 몰아가는 재난, 좀비와 같이 모든 생명과 영토를 절멸로 몰아넣는 재난이다. 그것은 자본주의가 초래한 재난MAASMON이지만, 자본주의의 바깥에서 오는 재난이다. 그것은 자본주의의영향력 너머에서 도래하는 막대한 폭력이다. - P1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비, 해방의 괴물 - 팬데믹, 종말, 그리고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 사유
김형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에 닥친 모든 재난은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분명하고 명백한 원인이 있으며, 얼마든지 사유 가능한 대상일 뿐이다. 초자연적 종말이란 없으며, 미래에도 오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초자연적(신비적) 재난 혹은 종말이라는 범주를 폐기할 것이다. - P4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 26가지 키워드로 다시 읽는 김수영
고봉준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수영의 詩 ‘거대한 뿌리‘의 한 구설에서 따온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는 제목처럼 26가지 시선으로 김수영 시인의 작품을 다시 볼 수 있기에
이 한 권만으로도 볼 가치는 충분했다.
개인적으로는 김수영 전집과
함께 여유를 두고 감상하시기를 추천드린다.
절박한 삶 속에 저항의 아름다움이 좋았던 것일까 어린 시절 김수영 시인을 좋아해서 10대에도 김수영 시집을 들고 다니면서 읽었다.
20대에 김수영 시인은 나에게 어려운 숙제 같은 문제들을 건넨 詩들로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아 점점 멀어져 갔다.​
2021년 탄생 100주년으로 미디어에 등장하고 잊었던 기억이 떠올랐고 운명처럼 ‘26가지 키워드로 다시 읽는 김수영‘이라는 부제에 《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가 왔고, 그의 전집을 다시 소환해 함께 읽었다.
40대에 다시 만난 김수영 시인의 작품들은 그때와 완전히 다른 작품이 되어서 나에게 왔고 어떠한 논란도 비난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런 문제들도 함께 넣어서 읽다 보니 그 아픔도 가치있게 느껴졌고, 인간 김수영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됐다.
(출판사 서포터즈로 도서를 제공받았으나, 개인의 주관적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